세시풍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329
한자 歲時風俗
영어공식명칭 Seasonal Custom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생활 풍속.

[개설]

세(歲)는 1년이고 시(時)는 계절을 뜻하니 세시풍속은 1년 4계절의 풍속을 말한다. 그런데 하나의 문화 소재가 풍속으로 인정받으려면 적어도 한 세대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세시풍속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풍속’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의 세시풍속을 계절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봄]

봄은 음력으로 1월부터 3월까지이다. 1월 풍속으로 새해 첫머리의 설을 꼽을 수 있다. 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다녀온다. 또 부모를 비롯한 집안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린다. 정초에 무당이나 점쟁이를 찾아가 토정비결을 보는 이도 적지 않았다. 드물지만 십이지(十二支)에 맞추어 해당 동물을 후하게 대접하거나 또는 박해하는 풍속도 전한다. 한 예로 쥐는 유해한 동물이므로 쥐날 논두렁에 불을 놓아 퇴치하려 한다. 이에 달리 소는 농경을 돕는 이로운 동물이므로 소날에 별식을 해 준다. 정월 열나흗날과 대보름 사이에는 특히 다양한 풍속이 펼쳐진다. 쥐불놀이, 오곡밥훔치기, 부럼깨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등과 함께, 마을별로 거리제나 산신제 등의 마을 제사가 전개된다. 이러한 풍속의 이면에는 새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2월에는 콩볶기, 노래기쫓기, 머슴들이기 등의 여러 풍속이 전한다. 이 가운데 콩점치기는 농경에서 풍흉을 예측하고자 하는 농점의 하나이다. 곧 정월대보름에 수숫대에 12개의 콩알을 칸칸마다 넣어 두고 처마 밑에 매달아 둔 뒤 이월 초하루에 내려서 수숫대 속에 넣어 둔 낱낱의 콩이 얼마나 불었는지를 살핀다. 가령 수숫대 속 3번 콩과 6번 콩이 많이 불어 있으면 3월과 6월 중에 비가 많을 것으로 예측한다. 농경사회에 적절한 강수량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표현하고 있는 점속이다.

삼월 삼짇날에는 화면이나 수면과 같은 시절 음식을 해 먹는다. 또 이날 노랑나비를 보면 1년 내내 운수가 좋다고 한다. 속설에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도 한다.

[여름]

여름은 음력 4월부터 6월까지이다. 4월에는 부처님오신날인 사월 초파일이 들어 있다. 부여에는 유서 깊은 사찰이 적지 않은데, 초파일이 되면 사찰 인근의 불자들이 찾아와 공양을 올리고 등에 불을 밝힌다.

5월에는 단오가 들어 있다. 단옷날이 되면 부여군 일대의 대부분 마을에서 그네뛰기를 하였다.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는 풍속도 전하고 있다.

6월에는 유두 풍속이 있다. 이날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으면 건강에 좋다고 한다. 또 일부 농가에서는 부침개나 보리개떡을 쪄서 논의 물고에 가져다 놓는다. 속설에 “기름 냄새가 풍겨야 농사가 잘된다”라고 한다.

[가을]

가을은 음력 7월부터 9월까지이다. 7월에는 칠석과 백중이 들어 있다. 부여군의 농촌에서는 칠석이나 백중에 두레먹이를 하던 전통이 남아 있다. 특히 백중날은 머슴날이라고도 하는데, 과거 머슴을 두었던 가정에서는 이날 머슴에게 새옷을 지어 주거나 재화를 주어 격려하였다.

8월에는 추석 명절을 쇤다. 송편을 빚어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다녀온다. 부여 지역의 추석차례는 햇곡을 조상에게 바치는 천신제(薦新祭)의 성격이 짙다.

9월에는 중양절이 끼어 있다. 추석 때 햇벼가 익지 않았을 경우 중양절에 구일차례를 지냈다. 또 9월에는 구절초를 베어다 말린다. 구절초는 여러 민간요법의 상비약 재료로서 배앓이 등에 쓰인다.

[겨울]

겨울은 음력 10월부터 12월까지이다. 10월은 결실의 계절로 여겨 넉넉함이 있다. 민가에서는 갈떡[가을떡]을 쪄서 집안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에게 올리고 이웃에 돌렸다. 그리고 문중이 중심이 되어 5대조 이상의 조상 묘를 돌며 시제를 지낸다.

11월엔 동짓날이 들어 있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 것이 관행이다. 그런데 동짓날이 그달 초순에 들면 애기동지[애동지, 아기동지]라 하여 팥죽을 쑤지 않고 떡을 해 먹는다.

12월 섣달그믐에는 웃어른들에게 묵은세배를 한다. 이날 밤 온 집 안에 불을 밝혀 두는데, 가는 해와 오는 해를 환하게 이어 주려는 뜻이라고 하며 이를 수세(守歲)라고 한다. 이날 밤에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