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491
한자 城內里碑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3길 7[성내리 671-5]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88년 5월연표보기 - 부사 최경회 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637년 7월연표보기 - 부사 이사상 청간 애민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642년 10월연표보기 - 부사 조정호 청덕 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696년 9월연표보기 - 부사 이봉징 청덕 선정 애민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50년 3월연표보기 - 부사 조명하 영세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57년 5월연표보기 - 부사 권대철 영세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6년 10월연표보기 - 부사 남종학 영세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7년 4월연표보기 - 부사 조관재 영세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2년 2월연표보기 - 부사 이교영 영세 불○○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5년 2월연표보기 - 군수 이철화 애민 선정 불○○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15년 6월연표보기 -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19년 12월연표보기 - 영해 면장 배학수 시혜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70년 초 - 성내리 비석군 현재의 자리로 이전
현 소재지 영해면행정복지센터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3길 7[성내리 671-5]지도보기
성격 비석군
관련 인물 최경회|이사상|조정호|이봉징|조명하|권대철|남종학|조관재|이교영|이철화|배학수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선정비.

[개설]

선정비(善政碑)는 해당 고을을 통치한 지방관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지방민들이 세우는 것으로 영해면 행정복지센터 비석군에는 영해부사 10기, 영해군수 2기, 영해면장 2기, 미상 1기 등 총 15기의 비가 있다.

[건립 경위]

1. 부사 김○ 타루비(府使金○墮淚碑)

1711~1712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김재(金裁)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연도는 미상이다.

2. 부사 최경회 선정비(府使崔慶會善政碑)

1585~1588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최경회를 기리기 위해 1588년(선조 21) 5월에 세웠다. 1888년(고종 25) 3월에 10대손 최석우(崔錫禹)와 최석우(崔錫祐)가 옮겨 세웠다.

3. 부사 이사상 청간 애민비(府使李士祥淸簡愛民碑)

1636~1637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이사상을 기리기 위해 1637년(인조 15) 7월에 세웠다.

4. 부사 조정호 청덕 선정비(府使趙廷虎淸德善政碑)

1641~1642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조정호를 기리기 위해 1642년(인조 20) 10월에 세웠다.

5. 부사 이봉징 청덕 선정 애민비(府使李鳳徵淸德善政愛民碑)

1695~1696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이봉징을 기리기 위해 1696년(숙종 22) 9월에 세웠다.

6. 부사 조명하 영세 불망비(府使趙命夏永世不忘碑)

1849년 영해부사를 지낸 조명하를 기리기 위해 1850년(철종 1) 3월에 세웠다.

7. 부사 권대철 영세 불망비(府使權大澈永世不忘碑)

1854~?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권대철을 기리기 위해 1857년(철종 8) 5월에 세웠다.

8. 부사 조관재 영세 불망비(府使趙寬在永世不忘碑)

1886~1887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조관재를 기리기 위해 1887년(고종 24) 4월에세웠다.

9. 부사 남종학 영세 불망비(府使南鐘鶴永世不忘碑)

1864~1866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남종학을 기리기 위해 1866년(고종 3) 10월에 세웠다.

10. ○○○ 애민비(○○○愛民碑)

마멸로 인해 내력을 알 수 없다.

11. 임병두 비(林秉斗碑)

1901~1903년까지 영해군수를 지낸 임병두를 기리기 위해 세웠다. 연도는 미상이다.

12. 부사 이교영 영세 불○○(府使李敎英永世不○○)

1889~1892년까지 영해부사를 지낸 이교영을 기리기 위해 1892년(고종 29) 2월에 세웠다.

13. 군수 이철화 애민 선정 불○○(郡守李喆和愛民善政不○○)

1903~1905년까지 영해군수를 지낸 이철화를 기리기 위해 1905년 2월에 세웠다.

14. 영해 면장 배학수 시혜비(寧海面長裵學守施惠碑)

배학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919년 12월에 세웠다. 우측에는 1915년 6월에 세워진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寧海面長裵學守不忘碑)’가 있다. 배학수의 인적사항은 자세하지 않으나 영해면은 1914년 영해군이 영덕군에 합병되면서 신설되었다.

15.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寧海面長裵學守不忘碑)

배학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915년 6월에 세웠다.

[위치]

성내리 비석군(城內里碑石群)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행정복지센터 청사 남서쪽의 담장에 접하여 있다.

[형태]

1. 부사 김○ 타루비

비는 비신의 중간 부분이 부러져 상부는 세워져 있고, 하부는 바닥에 놓여 있으며, 시멘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측면 형태는'ㄴ' 자형을 띠고 있다. 비문은 시멘트로 고정된 부분을 제외하면 육안 관찰이 가능한 상태이다. 비는 현재 비신(碑身)[상: 43㎝×57㎝×14㎝, 하: 60㎝×57㎝×14㎝]과 하엽형(荷葉形)의 비수(碑首)[70㎝×80㎝×20㎝]가 남아 있다. 비신과 비수는 한 돌로 제작되었다.

2. 부사 최경회 선정비

비는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6㎝×92㎝×46㎝)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164㎝×64㎝×14㎝]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부사 이사상 청간 애민비

비는 연화문이 음각된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5㎝×92㎝×55㎝]과 비신[138㎝×57㎝×20㎝], 하엽형(荷葉形)의 비수[63~65㎝×73㎝×최대24.5㎝]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과 비수는 한 돌로 제작되었다.

4. 부사 조정호 청덕 선정비

비는 연화문이 음각된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2㎝×96㎝×56㎝]과 비신[115㎝×62㎝×19㎝], 하엽형(荷葉形)의 비수[73㎝×83㎝×29㎝]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과 비수는 한 돌로 제작되었다.

5. 부사 이봉징 청덕 선정 애민비

비는 연화문이 음각된 장방형의 비석받침[현6㎝×104㎝×62㎝]과 비신[130㎝×60m×17㎝], 하엽형(荷葉形)의 비수[63m×80㎝×최대23㎝]로 구성되어 있다.

6. 부사 조명하 영세 불망비

비는 연화문이 음각된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5㎝×90㎝×58㎝]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83㎝×38m×12㎝]으로 구성되어 있다.

7. 부사 권대철 영세 불망비

비는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2㎝×81.5㎝×52㎝]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135㎝×48m×16㎝]으로 구성되어 있다.

8. 부사 조관재 영세 불망비

비는 장방형의 비석받침[현8㎝×57㎝×48㎝]과 규수형(圭首形)의 비신[122㎝×42m×11.5㎝]으로 구성되어 있다.

9. 부사 남종학 영세 불망비

비는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5㎝×63㎝×41㎝]과 규수형(圭首形)의 비신[103㎝×42m×16㎝]으로 구성되어 있다.

10. ○○○ 애민비

비는 연화문이 음각된 장방형의 비석받침[현7㎝×83㎝×53㎝]과 직수형(直首形)의 비신[119㎝×50.5m×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문은 표면의 마멸이 심해 전면 중앙의 ‘○○○애민비(○○○愛民碑)’만 확인된다.

11. 임병두 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4㎝×61㎝×26㎝]과 비신[77㎝×42m×12㎝], 연화문이 음각되어 있지 않고 형태만 갖춘 하엽형(荷葉形)의 비수[45㎝×최대56m×최대20㎝]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과 비수는 한 돌로 제작되었다.

12. 부사 이교영 영세 불○○

비는 비석받침 없이 시멘트로 원수형(圓首形)의 비신[76㎝×40㎝×16㎝]을 땅에 고정한 형태이다.

13. 군수 이철화 애민 선정 불○○

비는 장방형의 시멘트 비석받침[현12㎝×78㎝×41㎝]과 원수형의 비신[70m×36m×15㎝]으로 구성되어 있다.

14. 영해 면장 배학수 시혜비

비는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1.5m×36㎝×40㎝]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89㎝×3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15.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

비는 귀부[현16m×61㎝×77㎝]와 직수형(直首形)의 비신[71㎝×35.5㎝×14㎝]으로 구성되어 있다.

* 높이×너비×두께의 순

[금석문]

1. 부사 김○ 타루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김○○ 타루비(府使金○○墮淚碑)’가, 전면 우측에는 ‘반재○○ ○래사귀(半載○○○來死歸)’가, 좌측에는 ‘백세웅○ ○길양양(百世雄○○佶襄陽)’이 새겨져 있다.

2. 부사 최경회 선정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최공경회 선정비(府使崔公慶會善政碑)’가, 전면 좌측에는 ‘만력 후 오무자 삼월 일 이립 십대손 석우·석우(萬曆後五戊子三月日移立十代孫錫禹/錫祐)’가, 좌측면에는 ‘만력 십육년 무자 오월 일 립(萬曆十六年戊子五月日立)’이 새겨져 있다.

3. 부사 이사상 청간 애민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부사 이후사상 청간 애민비(府使李侯士祥淸簡愛民碑)‘가, 전면 좌측에는 ’정축 칠월 일(丁丑七月日)이 새겨져 있다.

4. 부사 조정호 청덕 선정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조공정호 청덕 선정비(府使趙公廷虎淸德善政碑)’가, 전면 좌측에는 ‘임오 시월 일(壬午十月日)’이 새겨져 있다.

5. 부사 이봉징 청덕 선정 애민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이상공봉징 청덕 선정 애민비(府使李相公鳳徵淸德善政愛民碑)’가, 전면 좌측에는 ‘병자 구월 일 립(丙子九月日立)’이 새겨져 있다.

6. 부사 조명하 영세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조공명하 영세 불망비(府使趙公命夏永世不忘碑)’가, 전면 우측에는 ‘이천민요 성부거막 일해식심 비구명심(二天民謠省賦祛瘼/一海息深碑口銘心)’이, 전면 좌측에는 ‘도광 삼십년 경술 삼월 일 십이진 립(道光三十年庚戌三月日十二津立)’이 새겨져 있다.

7. 부사 권대철 영세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권공대철 영세 불망비(府使權公大澈永世不忘碑)’가, 좌측면에는 ‘숭정 기원후 사정사 오월 일 립(崇禎紀元後四丁巳五月日立)’이 새겨져 있다.

8. 부사 조관재 영세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조공관재 영세 불망비(府使趙公寬在永世不忘碑)’가, 전면 좌측 상단에는 ‘견막어호 각석재송 택류대영 견월지청(蠲瘼漁戶刻石載頌/ 澤流大瀛見越之淸)’이, 전면 좌측 하단에는 ‘정해 사월 일 립(丁亥四月日立)이 새겨져 있다.

9. 부사 남종학 영세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남공종학 영세 불망비(府使南公鐘鶴永世不忘碑)’가, 전면 좌측에는 ‘병인 시월 일 진민 립(丙寅十月日津民立)’이 새겨져 있다.

10. ○○○ 애민비

비문은 표면의 마멸이 심해 전면 중앙의 ‘○○○애민비(○○○愛民碑)’만 확인된다.

11. 임병두 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아후 임공병두 지제(我侯林公秉斗之堤)’가 새겨져 있다.

12. 부사 이교영 영세 불○○

비신 전면 중앙에는 ‘부사 이공교영 영세불○○(府使李公敎英永世不○○)’이, 전면 좌측에는 ‘광서 십팔년 임진 이월○○○(光緖十八年壬辰二月○○○)’이 새겨져 있다.

13. 군수 이철화 애민 선정 불○○

비신 전면에는 ‘군수 이공철화 애민선정○○(郡守李公喆和愛民善政○○)이, 좌측면에 ‘광무 구년 을사 이월 진민 립(光武九年乙巳二月津民立)’이 새겨져 있다.

14. 영해 면장 배학수 시혜비(寧海面長裵學守施惠碑)

비신 전면에는 중앙에 ‘영해 면장 배학수 시혜비(寧海面長裵學守施惠碑)’가, 우측 하단에 ‘기미 십이월 일 원구동 립(己未十二月日元邱洞立)’이, 좌측 하단에 ‘보정안집 학도구비 함왈기력 자용각석(保政安集學徒口碑/ 咸曰其力玆庸刻石)’이 새겨져 있다.

15.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

비신 전면에는 중앙에 ‘영해 면장 배학수 불망비(寧海面長裵學守不忘碑)’가, 우측 하단에 ‘적심한보 일방뢰활 백괴이종 만구등송(赤心閑洑一方賴活/白壞移種萬口騰頌)’이, 좌측 하단에 ‘을묘 유월 일 읍평보중 립(乙卯六月日邑平洑中立)이 새겨져 있다.

[현황]

전체적으로 ‘⊓’ 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5기는 남쪽 담장 앞, 8기는 서쪽 담장 앞, 2기는 북쪽면에 세워져 있다. 비는 2기를 제외하면 형태는 비교적 양호하며, 글자의 마멸이 심한 비가 일부 있다. 비석군은 이전에 국도 제7호선에서 영해면으로 들어오는 입구 삼거리 지점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1970년 초에 면사무소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성내리 비석군은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까지 영해면 지역의 행정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