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490
한자 南石里碑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군청길 116[남석리 310-3]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05년연표보기 - 현령 권태일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633년연표보기 - 현령 이안진 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13년연표보기 - 현령 홍우규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현령 유정주 영세 방폐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4년연표보기 - 수의사도 박정양 방폐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6년연표보기 - 현령 우성규 선정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8년연표보기 - 현령 안종덕 영세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3년연표보기 - 아후 박문호 영세 송공비 건립
현 소재지 영덕군청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군청길 116[남석리 310-3]지도보기
성격 비석군
관련 인물 김창석|이안진|박정양|홍우규|유정주|송문상|박문호|우성규|안종덕|권태일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영덕군청에 있는 조선 후기부터 한말까지 세워진 비석군.

[개설]

남석리 비석군(南石里碑石群)은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기 영덕 현령을 비롯하여 경상좌도 암행어사, 영덕군수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비석들이다.

[건립 경위]

남석리 비석군은 영덕현령 8기, 경상좌도암행어사 1기, 영덕군수 1기 등 총 10기가 분포해 있다. 비석은 선정비(善政碑)·불망비(不忘碑)·송공비(頌功碑) 등 명칭은 다르나 이 지역에 부임한 지방관이 베푼 선정을 기리고 공을 칭송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위치]

남석리 비석군영덕군청 내에 있다. 원래 이곳은 영덕읍성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훼손되었다. 읍성은 대부분 손실되었고, 현재는 영덕군청 청사 등이 들어서 있다. 남석리 비석군영덕군청 주차장 남서쪽 끝에 자리한다. 주변에 망루와 사이렌탑이 있다.

[형태]

1. 현령 김창석 선정비(縣令金昌錫善政碑) 1704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7㎝×72.5㎝×45㎝]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碑身)[122㎝×43㎝×15㎝]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현령 이안진 선정비(縣令李安眞善政碑) 1633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8㎝×77㎝×45㎝]과 비신[92.5㎝×현47.5㎝×15.5㎝], 용문이 음각된 이수(螭首)[31㎝×현47㎝×22㎝]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과 비수는 한 돌로 제작되었다.

3. 수의사도 박정양 방폐 불망비(繡衣使道朴定陽防弊不忘碑) 1874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8㎝×66㎝×51㎝]과 원수형의 비신[139㎝×40~5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현령 홍우규 비(縣令洪禹圭淸德善---) 1713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9㎝×81.5㎝×47.5㎝]과 비신[111㎝×52.5~54㎝×17㎝], 쌍룡이 음각된 이수[56㎝×94㎝×19㎝]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의 일부는 매몰되어 있다.

5. 현령 유정주 영세 방폐비(縣令兪鼎柱永世防弊碑) 1834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8㎝×75.5㎝×54.5㎝]과 비신[133㎝×50~52.5㎝×25㎝], 화문(花文)이 음각된 비수(碑首)[30㎝×58㎝×31㎝]로 구성되어 있다.

6. 현령 송문상 비(縣令宋文想碑)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7㎝×90.5㎝×60.5㎝]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161㎝×61~62㎝×27㎝]으로 구성되어 있다.

7. 박문호 영세 송공비(朴文琥永世頌功碑) 1903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3㎝×70㎝×52㎝]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82㎝×30.5~33㎝×9.5~11.5㎝]으로 구성되어 있다.

8. 현령 우성규 선정 불망비(縣令禹成圭善政不忘碑) 1886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8㎝×57㎝×42㎝]과 직수형(直首形)의 비신[104㎝×28~32㎝×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9. 현령 안종덕 영세 불망비(縣令安鍾悳永世不忘碑) 1888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1㎝×63.5㎝×39.5㎝]과 직수형(直首形)의 비신[96㎝×34~35㎝×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10. 현령 권태일 비(縣令權泰一碑) 1605년

비는 새로 만든 장방형의 비석받침[현13㎝×81㎝×48㎝]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현84㎝×53㎝×18.5~19.5㎝]으로 구성되어 있다.

* 높이×너비×두께의 순

[금석문]

1. 현령 김창석 선정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김공창석 선정비(縣令金公昌錫善政碑)’가, 전면 좌측에는 ‘강희 갑신 삼월 일(康熙甲申三月日)’이 새겨져 있다.

2. 현령 이안진 선정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이공안진 선정비(縣令李公安眞善政碑)’가, 전면 좌측에는 ‘숭정 육년 정월 일(崇禎六年正月日)’이 새겨져 있다.

3. 수의사도 박정양 방폐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수의사도 박공정양 방폐 불망비(繡衣使道朴公定陽防弊不忘碑)’가, 전면 좌측에는 ’동치 십삼년 갑술 십일월 일 립(同治十三年甲戌十一月日立)‘이, 후면에는 박정양의 방폐와 관련된 내용이 새겨져 있다.

4. 현령 홍우규 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홍공우규 청덕선○○○(縣令洪公禹圭淸德善○○○)’이, 전면 좌측 상부에는 ‘청○○신 ○지○년(淸○○身 ○止○年/ 인이애인 통결천춘(仁以愛人 痛結千春)’이, 전면 좌측 하부에는 ‘계사 오월○○○(癸巳五月○○○)’이 새겨져 있다.

5. 현령 유정주 영세 방폐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유공정주 영세 방폐비(縣令兪公鼎柱永世防弊碑)’가, 전면 우측에는 ‘도광 십사년 구월 일(道光十四年九月日)’이 새겨져 있다. 전면 좌측, 좌측면, 후면, 우측면에는 유정주의 방폐와 관련된 내용이 새겨져 있다.

6. 현령 송문상 비

비의 박락으로 인해 비문은 전면 중앙의 ‘현령 송공문상○○○(縣令宋公文想○○○)’만 남아 있다.

7. 박문호 영세 송공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아후 박공문호 영세 송공비(我侯朴公文琥永世頌功碑)’가, 전면 우측에는 ‘상응○제 횡사언홍/ ○통정○ 견약철우(上應?堤 橫似偃虹/ ○通鄭○ 堅若鐵牛)’가, 전면 좌측에는 ‘유홍백보 공적민력/ 배원일후 송등아후(有洪百步功籍民力/倍遠一侯頌騰我侯)’가, 좌측면에는 ‘광무 칠년 계묘 단양 수·감동 강직영(光武七年癸卯端陽竪/監董姜稷永)’이 새겨져 있다.

8. 현령 우성규 선정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우공성규 선정 불망비(縣令禹公成圭善政不忘碑)’가, 전면 우측에는 ‘치관교남 부호성부 통승역동 진기유풍(治冠嶠南扶護聖富/統縄易東振起儒風)’이, 전면 좌측에는 ‘행명신경 자명석면 환부구동 이륜여애(幸明新鏡玆銘石面/還付舊銅以輪與哀)’가, 좌측면에는 ‘병술 십일월 일 교중 립(丙戌十一月日校中立)’이 새겨져 있다.

9. 현령 안종덕 영세 불망비

비신 전면 중앙에는 ‘현령 안공종덕 영세 불망비(縣令安公鍾悳永世不忘碑)’가, 전면 좌측에는 ‘무자 십이월 일(戊子十二月日)’이 새겨져 있다.

10. 현령 권태일 비

반파로 인해 비문은 비신 전면 중앙의 ‘현령 권공태일○○○(縣令權公泰○○○)’과 후면의 ‘황명 만력 삼십삼년○○○(皇明萬曆三十三年○○○)’만이 남아 있다.

[현황]

비는 2열로 분포하고 있다. 2열은 6기, 1열은 4기이다. 2열 좌측부터 1번 표지석이 시작되며, 1열 좌측에 ‘현령 선정비’ 안내석이 있다.

[의의와 평가]

남석리 비석군은 조선 후기에서 한말까지 영덕현 지역의 행정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