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2007 |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집필자 | 박순호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 전해오는 막대기를 이용한 민속놀이.
자치기가 시작된 것은 언제부터인지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놀이 기구가 없었던 옛날에 흔히 어디에나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놀이를 해왔다고 추정될 뿐이다.
놀이를 위해서는 우선 작은 막대와 큰 막대가 필요한데, 작은 막대는 대략 10~15㎝ 정도이고 큰 막대는 40~60㎝ 정도가 적당하다.
2명 혹은 그 이상이 될 때는 편을 짜서 시합을 하게 되는데, 자치기 놀이에는 순서와 방법이 다양하다.
편이 짜지면 먼저 공격할 편과 수비할 편을 정하고 수비할 편은 수비 위치를 잡는다. 공격할 편은 공격에 들어가기 전에 땅에 적당한 원을 긋고 원 가운데 구멍을 판다. 구멍 위에 작은 막대를 가로로 걸쳐 놓고 큰 막대를 구멍 밑에 넣은 다음 위로 힘차게 떠서 멀리 날려 보낸다.
수비 편은 막대를 받아야 공격을 할 수 있는데, 만약 막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공격 편의 원안에 던져서 넣어야 한다. 이때 공격 편의 큰 막대를 가진 사람은 원을 향해서 날아오는 작은 막대를 쳐내고 쳐낸 지점에서부터 3번을 계속 쳐 보낸다.
쳐서 날려 보낼 때는 먼저 작은 막대의 끝 부분을 쳐 작은 막대가 뛰어오르게 한 다음 뛰어오른 막대를 큰 막대로 힘껏 쳐서 멀리 날려 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3번을 치고 나면 친 편에서 큰 막대를 기준으로 몇 자라고 부르게 된다. 즉 원에서부터 작은 막대가 있는 곳과의 거리를 대강 몇 자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수비하는 편이 실제의 자수보다 많이 부른다고 생각되면 직접 거리를 잰다. 거리를 잰 결과 부른 자보다 더 될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적을 때는 공격과 수비가 바뀐다.
이후는 작은 막대를 공중에 던져놓고 치기, 한 손에 크고 작은 막대를 쥐고 적은 막대만 위로 올린 큰 막대로 치기, 양손에 작은 막대와 큰 막대를 쥐고 있다가 작은 막대의 끝 부분을 쳐 빙그르르 돌린 다음에 쳐 보내기, 가지랭이에 한 손을 집어넣고 작은 막대를 쳐 보내기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 순서마다 자를 많이 빼고 순서를 빨리 끝내는 편이 이기는데, 완전히 순서를 끝내면 다시 처음부터 되풀이된다.
오늘날 자치기는 명절 때 일부 고궁이나 박물관에서 민속놀이의 소개 차원에서 이루어질 뿐이다. 군산 지역에서도 자치기 놀이가 행해지는 곳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