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983 |
---|---|
한자 | 李湜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두헌 |
조선 전기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문신.
이식(李湜)은 옛 임피현에 거주하면서 1447년(세조 29)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선무랑으로 있으면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수원 부사와 사간원 헌납을 지냈다.
이식(李湜)은 전의 이씨 시조 이도(李棹)의 13세손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정용위 낭장(精勇衛郎將)을 지낸 이선경(李先慶)이며, 할아버지는 보공 장군(保功將軍)을 지낸 이양노(李養老)이고, 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이존현(李尊賢)이다. 장인은 유종화(柳從華)[본관 문화]이다. 조선 시대 개정면 운회리에서 세거한 전의 이씨 전서공파 입향조 이수인(李守仁)의 오촌 조카이다.
이식은 1447년(세조 29) 식년시 생원시에 3등 36위[합격자 총 200명 중 166등]로 합격하였다. 『정통 십이년 아 세종 대왕 이십구년 정묘식 사마방목(正統十二年我世宗大王二十九年丁卯式司馬榜目)』에는 이식의 거주지가 임피(臨陂), 관직이 수원 부사(府使), 아버지는 종사랑(從仕郞) 존현(尊賢)으로 각각 기록되어 있다.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병과 11위[급제자 총 33명 중 21등]로 급제하였다.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그의 전자(前資)가 선무랑(宣務郞), 관직은 헌납(獻納)으로 기록되어 있다.
1992년에 간행된 『전의 예안 이씨 성보(全義禮安李氏姓譜)』에 이식과 이식의 아버지, 할아버지의 묘소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증조할아버지 이선경(李先慶)의 묘만 예안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 이식의 후손은 손자 대까지만 수록되어 있는데, 모두 묘소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식과 이식의 선대 인물 중에 누가 언제 임피에 들어와 살았는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