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지방도』 「고군산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0355
한자 1872年地方圖古群山陣地圖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병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1872년 지방도』「고군산진 지도」 제작

[정의]

1871년(고종 8)에 ‘열읍지도(列邑地圖) 등상령(謄上令)’으로 이듬해인 1872년에 전라도 각 부(府), 군(郡), 현(縣), 진(鎭)에서 만들어 올린 채색지도 중 만경현에서 제작한 고군산진의 지도.

[개설]

본래 제목은 ‘만경현 지방 고군산진 지도(萬頃縣地方古群山鎭地圖)’로 만든 때가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같이 실려 있는 「진도부지도」의 건치 연혁에 ‘동치 5년 병인에 부로 승격하였다[同治五年丙寅陞爲府]’고 되어 있음을 보아 1866년 이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표현 양식은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관읍(官邑)과 산천(山川), 도로(道路), 봉수대(烽臺), 창고(倉庫), 장터(場市), 면리(面里), 관읍(官邑)과 각 면(面), 지역 사이의 거리, 경계(境界)까지의 거리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 지도의 여백에 약간의 항목 차이가 있으나 건치연혁, 정도(程途), 산성(山城), 봉수(烽燧), 선척(船隻), 관방(關坊)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고군산진처럼 해안·섬의 군현이나 진(鎭)의 지도에는 수로(水路) 및 수심(水深)도 밝혀져 있다. 지역 표시도 면(面)까지만 밝힌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면(面) 이하 리(里)·동(洞)까지 표시하여 상세하다.

[형태]

필사본으로, 크기가 35㎝×25㎝이다.

[구성/내용]

만경현의 고군산 군도는 진영이 설치되었던 선유도를 중심으로 장자도, 무녀도, 신시도, 곶리도, 횡경도 등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고려 시대부터 송나라로 향하는 무역항로의 기항지이자 서해안 연안 항로의 거점이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시대에도 이어져 여전히 조운선들이 정박하면서 바람을 피하거나 기다린 곳으로 이용되었다. 지도는 고군산도의 모습을 중심에서 밖으로 향하는 시점으로 둥글게 묘사하였다. 진의 모습이 그려진 섬이 지금의 선유도인데 원래의 지명은 군산도(群山島)였다. 조선 초기부터 이곳에 수군 진영이 설치되었으나 세종옥구현 북쪽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이름도 같이 이동하게 되자 이곳의 지명은 고군산도(古群山島)가 되었다. 고군산진은 1624년(인조 2)에 다시 설치되었다가 1675년(숙종 1)에 첨사진으로 승격되었다. 특히 이곳은 인근의 법성(法聖)·군산(群山)·위도(蝟島)·검모포(黔毛浦) 등에 속한 진의 군사를 조련(操鍊)하던 곳이다. 지도에는 진영의 관청 건물과 해안의 선박도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길게 이어진 명사십리(明沙十里)도 선명하다. 특히 해로의 표시가 상세한데 조운선과 상선의 해로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선유도의 나막리(羅莫里)에 있는 망주봉(望主巖)은 이곳에 귀양 온 신하가 북쪽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워했던 데서 연유한 지명이며, 그 아래의 오룡당(五龍堂)은 고려 시대부터 있었던 제신당으로 이곳을 왕래하는 선박의 안전을 기원했던 곳이라 한다.

이외에 나타나는 지명과 건물명 등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가자미리(加者味里), 객사(客舍), 곶지리(串芝里), 군고(軍庫), 남해문(南海門), 내아지(內衙址), 동면(東面), 동촌(東村), 동파도(東坡島), 동해문(東海門), 동헌(東軒), 만경야미도(萬頃夜味島), 말도리(末島里), 모리(毛里),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 방축구미리(防築仇味里), 백서(白嶼), 북해문(北海門), 사창(社倉), 삼도(三導), 삼문(三門), 서면(西面), 서촌(西村), 서해문(西海門), 선유봉(仙遊峰), 신치리(薪峙里), 신치산(薪峙山), 심구미리(深九味里), 애도(艾島), 양당리(陽唐里), 어은동(魚隱洞), 여의주(如意珠), 오룡대(五龍臺), 옥구저도(沃溝楮島), 옥녀도(玉女島), 요망대(瞭望臺), 요해방수처(要害防守處), 월영대(月影臺), 은서(隱嶼), 작청(作廳), 장리(長里), 장자봉(長者峰), 장청(將廳), 전월리(田月里), 진리(鎭里), 창고(倉庫), 책실(冊室), 천방서(天方嶼), 초서(草嶼), 초서(草嶼), 최고운선생유처(崔孤雲先生遊處), 통포리(桶浦里), 학무시리(鶴舞市里), 혈암(穴巖), 화도(火島), 횡건도(橫建島)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