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129 |
---|---|
한자 | 萬物商-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해당 지역 소재지 | 만물상 바위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북위 35도 48분, 동경 126도 23분]![]() |
---|---|
성격 | 바위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의 관리도 남단 서쪽 해변에 형성된 암석 해안의 침식 지형.
만물상 바위는 관리도의 남단 서쪽 해안에 나타나는 해안 침식 지형이다. 파랑에 의한 암석 해안 침식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이 나타난다. 북쪽의 홍합 바위와 남쪽의 구멍 바위[천공굴]의 중간에 위치하는 암석 해안 지역이다.
‘만물상 바위’라는 명칭은 암석 해안에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암석 해안에서는 파랑의 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해식애[해안에 생기는 낭떠러지]와 파식대[급경사의 절벽 기저부에서, 만조 때의 수면에서부터 간조 때의 수면 위치까지 뻗어 있는 완경사의 암석 붕단]가 형성된다. 파랑의 침식을 받아 해안변이 후퇴할 때 단단한 암석은 시스택(sea stack)으로 남게 되고, 약한 부위는 해식동[sea cave]이 뚫려 동굴이나 시아치(sea arch)의 지형을 보여준다.
만물상은 시스택이나 대규모의 해식동은 나타나지 않지만 침식 작용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의 침식면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