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원삼장치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649
한자 遠三-
영어음역 Wonsam Jangchigi
영어의미역 Wonsam Pole Play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집필자 홍순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시기 겨울철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서 겨울철에 어린아이들이 하던 공치기 놀이.

[개설]

공치기, 또는 얼레공치기라고도 하는 원삼장치기는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서 겨울철에 어린이들이 하던 공치기 놀이의 하나이다. 격구나 타구와 마찬가지로 양편으로 나누어 두 편이 각각 막대를 가지고 나무공을 쳐서 상대편 골문 안으로 밀어넣거나 상대편 종점선까지 몰아가는 놀이이다.

[놀이도구 및 장소]

장치기는 장대로 공을 친다는 의미이며, 음력 정초나 농한기에 주로 청소년층에서 성행했다. 장치기는 복잡한 설비가 필요없으며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다. 공은 솔방울이나 나무토막을 다듬어 쓰며, 장대는 지게작대기 같은 것을 쓴다. 보통 마을의 넓은 공터나 얼음판 위에서 양편으로 갈라서 놀았다.

[놀이방법]

원삼장치기도 다른 지역의 장치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중앙 기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공을 빼앗아 각각 자기편, 또는 상대편의 종점선까지 몰아가는 것이다. 골문을 만들어 골 안에 공을 넣는 것으로 승부를 가르기도 하는데, 총 점수로 승부를 결정 짓지는 않으며, 한 경기에서 여러 가지 경기를 진행한 뒤 어느 편이 몇 가지를 이겼는가에 따라서 승부가 결정된다. 경기의 가짓수는 다양하여,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돌장과 딴장을 꼽는다.

딴장이란 공중 경기라는 뜻이며, 처음에 양편 편장이 중앙 기점에 나와 선 다음에 심판원이 공을 공중에 던지면 그 공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공채로 받아 자기 편으로 넘기는 것이다. 돌장이란 몸을 한 번 돌린 후에 시작한다는 뜻으로, 공채를 옆구리에 꼿꼿이 세워 끼고 있다가 심판원의 신호에 따라 몸을 한 바퀴 돌려 가지고 구멍에 들어 있는 공을 꺼내어 자기 편에 쳐서 넘긴다. 장치기는 운동성이 풍부하고 손쉽게 누구나 할 수 있어 민간놀이로 성행하였다.

[현황]

원삼장치기는 용인시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근대 시기까지도 널리 성행하던 놀이였으나, 고무공과 같은 신식 운동기구가 이용되면서 점점 쇠퇴해졌다. 지금은 나이든 노년층의 기억에나 남아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