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084
한자 壬陳山
영어음역 Imjinsan
영어의미역 Imjinsan Mountain
이칭/별칭 이진봉,이진산,예진산,장대봉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기흥구 보정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호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129.2m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2동기흥구 보정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유래]

임진왜란 때 산정에 토성을 쌓고 왜군의 한양 진입을 방어하기 위한 보루로 사용하였기에 이를 임진산(壬陳山, 壬辰山)·이진봉·이진산·이뫼(이미)·예진산·장대봉 등으로 불렀다.

[자연환경]

작은 구릉인데, 북서쪽으로는 능선이 광교산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소실봉[188.2m]으로 이어진다. 서사면으로는 신봉천과 성복천이 흐르다가 합류하여 풍덕천을 이루며, 산 주변에는 넓은 선상지가 펼쳐져 있다. 최근 주변 지역 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황]

지리적으로 볼 때 총통이 발견된 임진산 동쪽 하단은 한양으로 통하는 삼남대로의 관문으로서 지금은 경부고속국도가 지나고 있다. 1592년 임진년 6월 6일 전라순찰사 이광이 이끄는 삼남 근왕병 10만 명이 용인의 광교산에 진을 치고 적과 전투를 벌여 참패하였는바, 이 지점은 본진의 전방 포대에 해당하는 위치였으며, 왜적의 한양 진격을 저지하기 위하여 배치된 포병 진지였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옛 문헌에는 고진봉(古陳峯)이라 하였고, 용인군 서변면 이현리(伊峴里)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97년 4월 30일 보정지구 택지개발 공사 중에 임진왜란 때의 것으로 보이는 현자총통(玄字銃筒) 2점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