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척군지명유래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472
한자 三陟郡地名由來誌
영어공식명칭 Samcheokgun Jimyeong Yuraeji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강원도 삼척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재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삼척군지명유래지』 간행
성격 향토지
저자 장정룡
간행자 삼척군

[정의]

강원도 삼척군의 읍·면별 소속 마을의 지명 유래를 수집·정리하여 1994년에 간행한 향토지.

[개설]

『삼척군지명유래지』삼척군의 법정리 103개, 행정리 161개, 자연부락 358개에 속한 산·하천·계곡·비각·인물·민속·민요·설화지명·역사지명·관광지명·근대지명 등 총 2650여 개 지명의 유래를 수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삼척 지역의 지명은 일찍부터 문헌에 기록되어 『삼국사기』, 『고려사』 등에 보인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에 좀 더 체계를 갖추고 자세하게 삼척 지역 지명 관련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또 허목(許穆)[1595~1682]의 『척주지』에도 삼척 지역 지명이 풍부하게 등장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지지자료』[1910]와 심의승(沈宜昇)의 『삼척군지』[1916]에 삼척 지역 지명을 수록하였다.

광복 후에는 김정경(金鼎卿)의 『삼척향토지』[1955], 최만희(崔晩熙)『진주지』[1963], 한글학회 편 『한국지명총람』[1967], 『삼척군지』[1985] 등에도 삼척 지역 지명 관련 내용이 들어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심의승의 『삼척군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삼척군은 날로 사라져 가는 삼척 지역의 지명을 체계화해서 조사·수집·정리하여 자료화하기로 하고 1993년부터 사업을 진행하여 이듬해인 1994년 11월 『삼척군지명유래지』를 발간하였다.

[서지적 상황]

『삼척군지명유래지』는 1994년 11월 10일자로 발간되었다.

[형태]

단행본으로 가로 19.3㎝, 세로 26.5㎝이다. 면수는 총 311면이다.

[구성/내용]

『삼척군지명유래지』의 목차는 삼척군의 역사, 삼척군의 지리·인문, 삼척군의 지명 유래, 삼척군의 팔경, 삼척군의 문화재, 삼척군의 자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척군의 지명 유래 항목에서는 도계·원덕읍 등 2개 읍과 가곡·근덕·노곡·미로·신기·하장면 등 6개 면의 지명을 기록하였다. 자세하게는 법정리 103개, 행정리 161개, 자연부락 359개에 속한 산·하천·계곡·비각·인물·민속·민요·설화지명·역사지명·관광지명·근대지명 등 총 2650여 개의 지명 유래를 수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자료집과 민속지에 수록된 내용을 망라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장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1985년 『삼척군지』 이후의 내용을 보태어 지명 및 민속의 변화 과정을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지명의 다른 이름을 첨가하고 한자를 병기하여 이해를 돕고, 변천 과정을 상고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다른 지명 유래지에서는 시도하지 못한 마을 전경 사진을 가능한 한 많이 수록하고, 명승지나 유적지 등의 사진 자료도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의의와 평가]

전승되는 지명 유래는 설화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우리 옛말의 음운 변화, 지역 방언의 특징을 보여 준다. 이에 따라서 『삼척군지명유래지』는 삼척 지역의 전통 문화 재현뿐만 아니라 교육 자료, 행정 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 앞으로 지속해서 이루어질 향토사 연구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