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북고사신중탱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366
한자 北固寺神衆幀畵
영어공식명칭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in Bukgosa Temple
이칭/별칭 「북고사 신중도」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북고사길 67[읍내리 52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진정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31년연표보기 - 북고사신중탱화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1월 17일연표보기 - 북고사신중탱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북고사신중탱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북고사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북고사길 67[읍내리 520]지도보기
성격 불교 회화|탱화
작가 화순(莊旬)|윤관(允寬)|호묵(護嘿)|민훈(敏訓)
서체/기법 견본 채색
관리자 북고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북고사 용화전에 있는 신중을 그린 조선 후기 불화.

[개설]

북고사신중탱화(北固寺神衆幀畵)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북고사 용화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신중(神衆)을 그린 조선 후기의 불화이다. 신중은 본래 인도의 토속신으로, 불교에 수용된 호법신이다. 조선 후기에는 신중을 별도의 그림으로 그려, 신앙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북고사신중탱화는 2000년 11월 17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비단에 채색한 것으로, 크기는 세로 125.5㎝, 가로 95.5㎝이다. 불화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의 중앙에는 동진보살(童眞菩薩)을 그리고, 좌측에 마혜수라천왕(摩醯首羅天王), 금강권보살(金剛眷菩薩), 금강색보살(金剛索菩薩), 천녀(天女)를, 우측에 제석천왕(帝釋天王)과 명왕(明王) 2구, 천동(天童)을 그렸다. 하단에는 좌측부터 용왕(龍王), 북방 비사문천왕(北方毘沙門天王), 서방 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 동방 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 남방 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이 그려져 있다.

[특징]

색채는 적색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복식의 일부에 녹색을 사용하였다. 화기(畵記)에 따르면, 1831년 3월에 북고사 용화전에 봉안한 것으로 화순(莊旬), 윤관(允寬), 호묵(護嘿), 민훈(敏訓)이 화원으로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의의와 평가]

신중도(神衆圖)은 대승 불교에서 인도 고유의 토속신과 불교가 전파된 각 지역의 토속신까지 편입시켜 그린 불화인데, 북고사신중탱화는 신중도의 전형적인 도상을 따르고 있으며, 제작 시기와 화원이 정확히 기록되어 있어, 제작 당시 불교 신앙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