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625
한자 李-土-寅-
영어음역 Yi In
이칭/별칭 야수(野叟),소옹(蘇翁)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진소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제주목사
성별
생년 1608년(선조 41)연표보기
몰년 1669년(현종 10)연표보기
본관 벽진(碧珍)
대표관직 예문관검열|사헌부지평|제주목사|영암군수|성균관사예|양양부사|의주부윤|형조참의

[정의]

조선 후기 제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가계]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야수(野叟), 호는 소옹(蘇翁). 아버지는 이조참판 이상급(李尙伋)[1571~1637]이다.

[활동사항]

1636년(인조 14)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남한산성까지 따라갔다. 1642년(인조 20) 예문관검열·예문관봉교·사헌부지평 등을 거쳐 1645년(인조 23) 세자시강원필선을 지냈다.

1646년(인조 24) 개성경력 재임 시 개성부의 무속인이 음사(淫祀)를 숭상하는 것을 일절 금지시켰고, 1649년(인조 27) 영암군수 재임 시에는 백성을 괴롭히는 열 가지 사항을 상소하여 받아들여졌다. 1658년(효종 9) 성균관사예·양양부사를 거쳐 1661년(현종 2) 정주목사를 지냈다. 1662년(현종 3) 의주부윤 재임 중 청나라 역관의 힘을 등에 업고 폐단을 일으키는 자들을 엄단하였고, 1664년(현종 5) 성주목사, 1666년(현종 7) 형조참의 등을 지냈다.

1667년(현종 8) 6월 홍우량(洪宇亮)의 후임으로 제주목사에 부임하여 1669년(현종 10) 9월 재임 중 사망하였다. 제주목사로 부임하던 해 제주도에 큰 흉년이 들어 조 1만여 섬을 들여와 진휼하였고, 수천 섬이 남아 별고(別庫)에 저장하여 수해와 한해에 대비하였다.

1668년 가락천 동쪽 고령전(古齡田)에 있던 제주향교를 가락천 서쪽 옛 자리로 옮겨 세웠으며, 이때의 상황이 신찬(申纘)[1623~?]이 지은 「신향교이건기(新鄕校移建記)」에 전한다. 또한 망경루(望京樓)와 애매헌(愛梅軒)을 중수하고 1669년 영혜사(永惠祠)를 장수당(藏修堂) 동쪽에 건립하여 이약동(李約東)[1416~1493]·이회(李禬)[1607~1666]를 제향하였다.

1668년 왜적에 대비하기 위하여 사병 3초(哨: 3백 명)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1초를 더 증원하였다. 한편 진휼고를 특별히 설치하여 세곡(稅穀)을 저장해 두었다가 흉년이 들면 진휼용으로 사용하였다.

이인이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조부인 이약동(李約東)을 의논도 하지 않고 삼현(三賢: 문간공 김정(金淨)·문정공 김상헌(金尙憲)·문간공 정온(鄭蘊))의 위에 위패를 모셨다. 1675년(숙종 1) 9월에 부호군 이선(李選)[1632~1692]이 어사로 순무하다가 제주의 폐막(弊瘼) 40조를 보고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알리자, 이약동의 위패를 철거하라는 어명이 내려졌다. 그 후 제주의 오현(五賢)에 이약동이 빠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