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무 만묵당집 목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557
한자 李景茂晩默堂集木板
이칭/별칭 『만묵당 선생 문집(晩默堂先生文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39년 9월연표보기 -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 여양 서원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16년 2월 4일연표보기 -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1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간행처 여양 서원 -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성격 문집
저자 이경무
편자 이필신
간행자 이주신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0×31.2㎝|15.7×20.0㎝[반곽]
어미 상하 이엽 화문 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
권수제 만묵당 선생 문집(晩默堂先生文集)
판심제 만묵당집(晩默堂集)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정의]

조선 후기 함안 출신의 유학자 이경무의 문집.

[저자]

이경무(李景茂)[1609~1679]의 본관은 여주이며, 자는 여실(汝實), 호는 만묵당(晩默堂)이다. 함안 두곡촌[지금의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두곡 마을]에서 태어났다. 이경무의 고조할아버지가 함안으로 이주하였고, 아버지 이익형(李益亨)[1573~1633]은 두곡촌에 정착하였는데, 당시 북인 세력을 피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외할아버지는 이도자(李道孜)인데, 이경무는 어릴 적부터 이도자와 이도자의 숙부 이후경(李厚慶)에게 배웠는데, 이를 통해 정구(鄭逑)에게로 학문 연원이 닿는다.

[편찬/간행 경위]

이경무의 6세손 이주신(李柱新)이 1839년 8월에 지은 발문(跋文)에 따르면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李景茂晩默堂集木板)의 간행 경위는 다음과 같다. 이주신의 부친이 이경무가 남긴 글을 수습해서 간행하려고 하다가 완성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그 뒤 이주신의 재종형 이필신(李弼新)이 이경무의 글을 정리해서 간행하였다. 간행처는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에 있던 여양 서원(廬陽書院)인데, 이경무를 제향하는 서원이다. 간행 시기는 1839년 9월이다. 서문(序文)은 이필신의 요청으로 송시열의 후손 송치규(宋穉圭)[1759~1838]가 지었다. 문집 끝머리의 발문은 안몽백과 이주신이 지었는데, 안몽백은 1836년 12월 발문을 지으면서 이경무의 글과 행실이 일치한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만묵당 선생 문집(晩默堂先生文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2권 1책으로 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20.0㎝, 세로 31.2㎝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7㎝, 세로 20.0㎝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다. 권수제는 '만묵당 선생 문집(晩默堂先生文集)', 판심제는 '만묵당집(晩默堂集)'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은 문체별로 수록되어 있는데, 시(詩) 34편, 부(賦) 2편, 표(表) 1편, 의(疑) 1편, 서(書) 1편, 서(序) 1편, 제문(祭文) 23편, 상량문(上樑文) 1편, 잠(箴) 1편, 잡저(雜著) 2편이 있다. 시 34편 중에는 지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輓詩)가 다수이다. 총 23편의 제문 중에는 박진영(朴震英), 조임도(趙任道)를 위시하여 함안 및 인근 지역의 명사들을 제사 지내는 글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권2에는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등 이경무의 전기 자료와 이경무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만장(輓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경무의 행장은 함안에 거주하던 안몽백(安夢伯)이 1835년 9월에 지었고, 묘갈명은 1839년 4월 남구목(南屨穆)이 지었다. 제문 및 만장은 이경무의 제자 및 지인들이 지었는데, 그 수가 상당히 많다. 2016년 2월 4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1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중기 함안 지역에 거주했던 이경무의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을 통해 당시 지역의 유림사를 복원할 수 있다. 비록 이경무가 지은 글은 많지 않지만, 다수의 만장 및 제문이 실려 있어 이경무의 교유 범위를 재구성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함안은 남명학의 영향이 강한 지역인데, 정구 계열의 남명학파가 인조반정[1623] 전후로 지역 유림 사회에서 유대했던 정황을 이경무 만묵당집 목판을 통해 일별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