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895 |
---|---|
한자 | 金德弘 |
영어공식명칭 | Kim Deokh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바른 |
출생 시기/일시 | 1558년 - 김덕홍 출생 |
---|---|
몰년 시기/일시 | 1592년 - 김덕홍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785년 - 김덕홍 지평 증직 |
추모 시기/일시 | 1788년 - 김덕홍 의열사 배향 |
사당|배향지 | 벽진서원(碧津書院)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본관 | 광산(光山) |
대표 관직 | 지평(持平) |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출신의 의병장.
[가계]
김덕홍(金德弘)[1558~1592]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후(金珝), 할아버지는 김극효(金克孝)이다. 아버지는 습독(習讀) 김붕변(金鵬變)이다. 동생은 김덕령(金德齡), 김덕보(金德普)이다.
[활동 사항]
김덕홍은 1558년(명종 13)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우계(牛溪) 성혼(成渾)[1535~1598]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김덕홍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두 동생인 김덕령, 김덕보와 함께 어머니를 모셨는데, 효우(孝友)가 지극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덕령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전주(全州)에 이르렀을 때 적세(敵勢)가 매우 성함을 보고, 김덕령에게 “이 적을 없애지 못하면 나는 살아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늙으신 어머니가 집에 계시는데 형제가 함께 죽을 수는 없으니 너는 돌아가 봉양하거라”라고 말하였다. 동생을 보내고 고경명(高敬命)[1533~1592]과 합세하여 싸웠으나 금산(錦山)에서 죽었다.
[학문과 저술]
1789년(정조 13)에 김덕령이 남긴 시문과 연보 등을 모아 『김충장유사(金忠壯遺事)』를 편찬하였는데, 책 뒤에 김덕홍과 동생 김덕보의 유적과 유고를 붙였다.
[상훈과 추모]
김덕홍은 1785년(정조 9) 9월에 지평(持平)을 증직(贈職) 받았고, 이후 의열사(義烈祠)에 배향(配享)되었다. 1788년 김덕령·김덕홍의 고향에 형제의 업적을 적은 비석을 세웠는데, ‘증병조판서충장공 김덕령·증정경부인흥양이씨충효지리(贈兵曹判書忠壯公金德齡贈貞敬夫人興陽李氏忠孝之里)’라는 비명(碑銘)과 함께 김덕홍의 비기(碑記)가 있다. 의열사는 1602년(선조 35)에 박광옥(朴光玉)[1526~1593]을 기리기 위해 창건되었는데, 1681년(숙종 7)에 김덕령이 추가 배향(配享)되고 중수(重修)하였으며, ‘의열사(義烈祠)’라고 사액(賜額)되었다. 이후 오두인(吳斗寅)[1624~1689]과 김덕홍·김덕보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毁撤)되었다. 이후 후손들이 운리영당(雲裏影堂)을 신축하고 박광옥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祭享)하였다. 지금은 벽진서원(碧津書院)[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으로 개칭(改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