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991 |
---|---|
한자 | -金庫 |
영어공식명칭 | Korean Federation of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
이칭/별칭 | 새마을금고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우진 |
현 소재지 | 새마을금고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14[농성동 671-67] |
---|---|
성격 | 금융기관 |
전화 | 062-361-3001 |
홈페이지 | https://www.kfcc.co.kr |
[정의]
광주광역시에 있는 금융 기관.
[개설]
MG새마을금고는 전통적인 협동 조직인 계, 향약, 두레 등의 상부상조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신용협동조합의 성격을 지니지만 일반적인 신협과는 일부 차이가 있다. 기본적인 기능은 유사하지만 신협은 주로 도시 지역의 서민, 상공인, 종교 단체, 직능 단체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구성하여 공동체의 성장과 지역 사회의 발전을 추구한다. 그러나 MG새마을금고는 주로 농촌 지역의 농민이 주축이 되어 지역 공동체의 발전을 추구한다.
MG새마을금고의 효시는 1963년 4월 재건국민운동본부가 농촌을 중심으로 조합원의 저축을 장려하여 조성된 자금을 생산·비축 자금으로 저리 융자하기 위해 조직한 마을금고이다. 이 마을금고의 명칭이 1982년 12월에 「새마을금고법」이 제정될 때 새마을금고로 바뀐 것이다. 광주광역시에는 25개의 MG새마을금고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
협동조합으로서 한국 고유의 자율적 협동 조직인 계, 향약, 두레 등의 상부상조 정신을 계승하고, 협동조합의 원리에 기초한 신용 사업, 공제 사업 등의 경제적 기능과 회원 복지 사업, 지역 공헌 사업 등의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회원[조합원]을 위한 금융 사업, 공제 사업 등을 기본으로 하면서, 목욕탕, 장학회, 농장, 공장 등의 설립·운영을 통한 회원 소득 증대 사업과 지역 사회 공헌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현황]
2014년 기준으로 전국에 1,327개의 MG새마을금고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광주 지역에는 동명MG새마을금고, 계림MG새마을금고, 동광주MG새마을금고, 대광MG새마을금고, 서석MG새마을금고, 전남대학교병원 MG새마을금고, 푸른MG새마을금고, 무진MG새마을금고, 서양MG새마을금고, 광남MG새마을금고, 광주광역시청 MG새마을금고, 온누리MG새마을금고, 상무MG새마을금고, 화정MG새마을금고,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광주공장 MG새마을금고, 각화MG새마을금고, 중흥MG새마을금고, 북광주MG새마을금고, 북부MG새마을금고, 태봉MG새마을금고, 한마음MG새마을금고, 금호타이어 MG새마을금고, 서광주MG새마을금고, 삼성전자 광주공장 MG새마을금고 등 25개의 MG새마을금고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14[농성동]에는 광주·전남 지역 MG새마을금고의 운영 지원과 감사 활동을 수행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도 있다. 한편, 새마을금고는 지역 새마을금고와 직장 새마을금고로 구분된다. 전남대학교 MG새마을금고, 광주광역시청 MG새마을금고,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광주공장 MG새마을금고, 금호타이어 MG새마을금고, 삼성전자 광주공장 MG새마을금고는 직장 MG새마을금고이며, 나머지 MG새마을금고는 지역 MG새마을금고이다.
[의의와 평가]
신협과 마찬가지로 MG새마을금고도 1970년대~1980년대에 우후죽순으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운영 미숙과 부채, 악성 채권의 회수 불능 등으로 인해 폐업 및 경영 악화 등 폐단이 발생하고, 회원들의 예금을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에 1983년 「새마을금고법」을 제정하여 회원의 예금 보호와 함께 부실 금고에 대한 통폐합 및 허가 취소 강행 등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