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500 |
---|---|
한자 | 養士齋 |
영어공식명칭 | Yangsajae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세욱 |
건립 시기/일시 | 1766년![]()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1년 12월 - 대구향교 양사재 재건 |
현 소재지 | 양사재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 735-4]![]() |
원소재지 | 양사재 -
대구광역시 중구 교동
![]() |
성격 | 강학공간 |
양식 | 복층의 맞배지붕 양식 |
정면 칸수 | 5칸 |
측면 칸수 | 3칸 |
소유자 | 대구향교재단 |
관리자 | 대구향교재단 |
조선 후기 대구향교에 건립된 강학 공간.
1766년(영조 43) 대구판관 김로(金魯)가 지역의 가난한 선비들이 기숙하며 안정적으로 학문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전(公田)을 들여 건립한 강학 공간이다. 1767년 경상도관찰사 김응순(金應淳)[1728~1774]이 기문을 써서 김로의 선비 양성 의지를 치하하였고, 김로도 기문을 남겼다.
양사재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735-4의 대구향교 경내에 있다.
정유재란이 끝난 뒤인 1599년(선조 32)에 현 중구 달성동의 달성공원에 재건된 대구향교는 1605년 중구 교동으로 이건하였다. 이후 1932년 중구 남산동으로 옮기면서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서무(西廡)만 건립되었으나 1991년 12월에 양사재가 재건되었다.
양사재는 아래층은 철근 콘크리트, 위층은 목조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이다. 상부는 목조로 된 혼합 구조의 건물이다. 위층의 목조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낙육재(樂育齋)와 거의 유사한 형식을 보여 준다. 아래층의 면적은 36평[약 119㎡]이며, 위층은 32평[약 10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