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8029 |
---|---|
한자 | 鄭輝昌 |
영어공식명칭 | Jeong Hwichang |
이칭/별칭 | 한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종헌 |
출생 시기/일시 | 1928년 12월 23일![]() |
---|---|
활동 시기/일시 | 1957년 - 정휘창 대구아동문학회 창립 회원으로 활동 |
활동 시기/일시 | 1966년 - 정휘창 한글학회 경북지회[현 대구지회] 창립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 정휘창 동화집 『밀리미터학교』 발행 |
활동 시기/일시 | 1970년 - 정휘창 문화 단체 ‘외솔회’ 창립 |
활동 시기/일시 | 1971년 - 정휘창 계간지 『나라사랑』 발행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 정휘창 동화집 『점복이 도련님』 발행 |
활동 시기/일시 | 1995년 - 정휘창 영남수필문학회[전 경북수필동인회] 회장 |
몰년 시기/일시 | 2020년 3월 3일![]() |
출생지 | 경상북도 문경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
수학|강학지 | 대구공립농립학교 -
대구광역시
![]() |
성격 | 아동문학가 |
성별 | 남성 |
대표 관직|경력 | 대구아동문학회 회장|영남수필문학회 회장 |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아동문학가.
정휘창(鄭輝昌)[1928~2020]은 1928년 12월 23일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에서 태어났다. 한재라는 호를 사용하였고 1943년 대구공립농립학교[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를 다녔다. 1957년 이응창과 함께 대구아동문학회 창립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 아동문학의 발전에 기여한 동화작가이다.
정휘창은 1943년 무렵 일제의 강제 징용을 피하여 고향 문경으로 내려가 있다가 해방을 맞았다. 이후 교원 채용 시험에 합격하여 문경 가은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1956년과 1957년에 중등학교 교사 자격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원화여자중학교[현 원화중학교], 원화여자고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1957년 대구아동문학회 창립 회원으로 참여하여 전후 대구 지역 아동문학의 휴면기를 극복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정휘창은 1961년 동화집 『어린이역사 이야기』를 내면서 등단하였고 이후 역사의식이 뚜렷한 동화를 발표하였다. 또 1966년에 한글학회 경북지회[현 대구지회]를 창립하여 총무이사로 활동하였으며, 유양한글문화사업[1969~1984]으로 어린이 글짓기 운동에 힘썼다.
정휘창은 1970년에 외솔 최현배의 나라 사랑 정신을 이어받은 문화 단체 ‘외솔회’를 창립하고 1971년부터 계간지 『나라사랑』을 발행하였다. 1995년 영남수필문학회[전 경북수필동인회] 회장을 맡았다.
정휘창은 2020년 3월 3일 사망하였다.
정휘창의 작품집은 『어린이역사 이야기』[1961], 『바보온달과 평강공주』[1961], 『밀리미터학교』[1968], 『충효의 길』[1977], 『점복이 도련님』[1985], 『항일독립운동사』[1991], 『왕사』[번역소설, 1992], 소설 『살아남은 사람들』[2007], 『하늘 보고 땅을 예측한 과학자 장영실』[2016], 동화 선집 『밀리미터학교』[2017] 등이 있다.
정휘창은 한글운동 공로상[1975], 매일광복상[1978], 불교문학대상[2010]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