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146 |
---|---|
한자 | 大邱再活-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북로 124[호산동 70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영숙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95년 9월 16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6월 - 대구재활센터 신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 대구재활센터 대구 지역 사회 복귀 시설 공동작업장 ‘희망 찾는 일터’ 개소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3년 1월 - 대구재활센터 75인 시설로 확대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6월 - 대구재활센터 시설 내 보호작업장 개소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9월 - 대구재활센터 사회복지의 날 우수시설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최초 설립지 | 대구재활센터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북로 124[호산동 707-1] |
현 소재지 | 대구재활센터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북로 124[호산동 707-1]![]() |
성격 | 복지시설|정신 재활시설 |
전화 | 053-359-3730 |
홈페이지 | http://www.dgprc.org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에 있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 재활 복지시설.
대구재활센터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복지 시설이다.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질병을 치료하고 다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개소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각종 재활 프로그램은 물론 사회 복귀 시설인 공동작업장 및 보호작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대구재활센터는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기능을 충분히 다할 수 있도록, 잃어버린 인생의 목표를 다시 세우고 그것을 위하여 기술을 배워서 사회인이 되는 준비를 돕기 위하여 개소하였다.
대구재활센터는 1995년 9월 16일 개소하였으며, 1999년 6월 건물을 신축하였다. 2002년 대구재활센터 내에 대구 지역 사회 복귀 시설인 공동작업장[대구 지역 3개 기관] ‘희망 찾는 일터’를 개소하였다. 2003년 1월에는 75인 시설로 확대하였으며, 2006년 6월 시설 내 보호작업장을 개소하였다.
2006년 9월 사회복지의 날에 우수 시설로 선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대구재활센터는 사단법인 대한정신장애인가족협회 대구광역시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2021년 현재 시설장[1인]과 사무국장[1인], 재활상담팀과 재활활동팀, 직업재활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운영위원회를 두고 있다.
대구재활센터의 이용 대상은 만성 정신장애인[조현병, 우울증, 조울증 환자로 현재 병원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자]이며, 이용 시간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다.
대구재활센터는 상담 서비스[개인 상담, 집단상담], 교육 프로그램[기초 교육, 약물 증상 교육, 스트레스 관리 교육, 대인관계 교육, 취업 전 교육 등], 자치 활동[자치회의, 상벌위원회 개최를 통한 질서 유지, 회원 권리 보전], 취미 프로그램[미술 교실, 음악 교실, 영화 교실, 스포츠 교실, 사회 현장 훈련, 주말 활동, 영화 교실, 채플 프로그램 등], 가정방문 서비스, 취업장 방문 서비스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대구재활센터를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우선 재활 센터 입학 등록을 하여야 하며 전문가와의 초기 면접과 담임 상담[지능 평가, 재활 목표 설정]을 거쳐야 한다. 일단 입학을 하게 되면 다양한 정신 재활 프로그램 활동[회원/가족]을 하게 되고 활동 후 지능 평가를 거쳐 졸업을 하게 된다. 졸업 후에는 꾸준한 사후 관리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