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481
한자 松川精舍
영어공식명칭 Songcheonjeongsa
이칭/별칭 송천의숙,대제중학
분야 문화·교육/교육,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1길 21-3[송천리 339-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송천정사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1길 21-3[송천리 339-2]지도보기
원소재지 송천정사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1길 21-3[송천리 339-2]
성격 교육기관
양식 목조건물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세워진 근대 교육기관.

[개설]

송천정사(松川精舍)권득여(權得輿)[1636~1716]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교육기관이다. 권득여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득초(得初), 호는 송천자(松川子)이다. 1682년(숙종 8)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93년(경종 19) 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천자독오록(松川子獨娛錄)』이 전한다.

[위치]

송천정사송천리에 있는 송천1리 회관 동쪽에 자리한다. 송천리의 동·서·북쪽은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고, 남쪽은 송천이 흐른다. 권득여송천리 지세의 기묘함을 알고 구릉에 솔을 심고 마을 이름을 송천(松川)이라 붙이고 이곳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주변에 영덕 송천세려고택(盈德 松川世廬古宅) 등이 있다.

[변천]

17세기 말을 전후하여 권득여가 후학 양성을 위해 건립하였다. 한말 송천의숙(松川義塾), 대제중학(大濟中學)으로 개칭하여 신교육 학교로 사용하였다. 애국정신과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의병과 영해 3.18독립운동의 발원지가 되었다.

[형태]

송천정사는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기와 건물이다. 평면은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과 왼쪽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이다. 전면에 퇴간을 두고, 퇴간 주위는 헌함을 둘렀다. 가구는 오량가(五梁架) 구조이다.

[현황]

송천정사는 건물이 많이 훼손되어 보수·관리가 필요하다. 종도리[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상부에 「독오헌(獨娛軒)」과 「송천정사」 현판 2개가 있다.

[의의와 평가]

송천정사는 17세기 말부터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 지역의 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한말·근대까지 전통이 이어져 신교육 시설로 존속하였다. 특히 지역 의병과 영해 3.18독립만세운동의 발원지가 된 곳으로 역사적 의의가 깊은 문화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