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말과 기억으로 전승되는 민간 문화, 지식, 문학의 총칭. 구비 전승은 말과 기억으로 전승되는 문화, 문학, 지식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구비 전승의 범주에는 설화, 민요, 무가, 속담, 수수께끼 등이 포함되는데, 영덕군에서 가장 많이 전승되고 있고, 지역적 특색을 잘 반영하는 것은 설화와 민요이다. 영덕 지역의 설화와 민요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인물 전설의...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는 노동요. 「그물 당기는 노래」는 바닷가 지역인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일대에서 들온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들온산, 이여송이 혈을 지른 곳」은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와 강구면 소월리 경계지에 오십천 맑은 내를 바라보며 우뚝 솟은 산인 들온산[입래산]에 대한 지명유래담이다....
-
「모노래」는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모노래」는 「모심기 노래」의 이칭이며, 모내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경상북도 영덕군에서는 두 종류의 「모노래」가 전해 내려온다....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에서 뱀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뱀서방」은 먹구렁이로 태어난 사람이 현명한 처를 얻어 껍질을 벗고 과거에 급제한다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베를 짜며 불렀던 노동요. 경상북도 영덕군의 「베틀 노래」는 천상 선녀가 하강하여 베를 짜고, 또 베틀의 부분 부분이 기술되기도 하며, 세상을 떠난 임을 그리워하는 내용이 함께 나타나는 노래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손자 노래」는 손자에 대한 사랑과 축원(祝願)을 주제로 한 유희요(遊戲謠)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시집살이를 소재로 한 유희요. 「시집살이 노래」는 전국적으로 불려지던 민요이다. 노동요 혹은 유희요로 불렸으며, 경상북도 영덕군에서는 유희요 형태의 가사가 전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경상북도 영덕군에서는 두 작품의 「신세타령」이 전해 내려온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서 선비와 여우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의 책을 얻었던 선비」는 글공부만 하던 선비가 여우에게 책을 얻어 의적이 되고, 아내의 도움으로 장사하여 치부(致富)에 성공한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유만애기」는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내당에 들어앉은 귀부인의 거동과 사치스런 치장에 대한 노래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일대에서 이방 아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방 아들의 지혜」는 원님이 던진 문제를 이방 아들이 해결하였다는 이야기를 풀어 낸 설화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서 장군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영해부(寧海府) 원고리(元皐里)[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서 태어난 박의장(朴毅長)[1555~1615]의 호는 무의공(武毅公)이다. 1577년(선조 10) 무과에 급제해 주부(主簿)가 되고, 1588년 진해현감(鎭海縣監)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경주판관이 되었다. 장기군수 이수일(李守一)과 함께 박진...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에서 인간의 욕구 및 효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보 청송 조리 장수」는 홀어머니에 대한 효도를 다해 좋은 묘터를 얻게 되어, 자손이 번성하였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