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의 부속 건물. 권희언(權希彦)[1500~1549]의 묘 아래에 있는 재사(齋舍)이다. 권희언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휴지(休之), 호는 전원(田園)이다. 안동권씨 가문은 단종의 육촌 형제인 권책(權策)[1444~?]이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인량리(仁良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권상임이 지은 고택. 강파헌정침은 권상임(權尙任)[1622~1700]의 살림집이다. 권상임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중(士重), 호는 강파(江坡)이며, 인량리에서 출생하였다. 1669년(현종 10)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집으로 돌아와 시묘살이를 하였다. 관직에 복귀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는...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조선 시대 가옥. 경수당종택(慶壽堂宗宅)은 박세순(朴世淳)[1539~1612]이 건립한 가옥이다. 박세순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공검(公儉), 호는 경수당(慶壽堂)이다. 영해 원구리에서 태어나 임진왜란 때 후방의 군수물자를 조달하는 군자감정의 직을 맡았았고, 조카 무의공 박의장이 경주와 울산 등지의 전투에서 군량미가 떨어져 곤경에 처하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눌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경주김씨(慶州金氏) 아천공파(我泉公波) 종가(宗家)이다. 눌곡리에 세거하는 경주김씨는 아천(我泉) 김주린(金周麟)[1553~1650]을 입향조로 한다. 김주린은 임진왜란 때 경주에서 영덕 천전으로 와 머물다가 눌곡에 정착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 있는 지은 지 오래된 가옥. 고택은 대개 우리의 오랜 전통적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기술, 장인에 의해 지은 목조기와집을 뜻한다. 즉, 근대 이전의 고유한 평면 및 구조 형태로 지은 우리네 살림집을 말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살림집. 권응주(權應周)[1539~1610]가 건립한 살림집이다. 권응주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망(汝望), 호는 곡강정(曲江亭)이다. 안동권씨 영해 입향조 권책(權策)의 현손이다. 임진왜란 때 화왕산성 곽재우 진영에서 공을 세워 승사랑(承仕郞) 예빈시(禮賓寺) 봉사에 제수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안동권씨 종택. 권경(權璟)[1604~1666]의 종택이다. 권경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옥(景玉), 호는 대은(臺隱)이다. 『대은문집(臺隱文集)』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에 있는 살림집과 별묘. 이주원(李周遠)[1714~1796]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이주원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거보(巨甫), 호는 면운재(眠雲齋)이다. 1754년(영조 3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수직(壽職)으로 첨추(僉樞)에 제수되었다. 저서로 『익도편문(翼道編門)』과 『면운재집(眠雲齋集)』이 전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칠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 목사공종택(牧使公宗宅)은 박홍장(朴弘長)[1558~1598]의 살림집이다. 박홍장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사임(士任), 호는 농아당(聾啞堂)이다. 아버지는 현감 박세렴(朴世廉)이고,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이며, 형은 박의장(朴毅長)이다. 박홍장은 상주목사(尙州牧使)를 지냈다. 1596년(선조 29)에는 통신부사(通信副...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영덕 괴시동 대남댁(盈德槐市洞台南宅)은 남준형(南晙衡)[1703~1778]이 살림집으로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남준형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진숙(鎭叔), 호는 괴정(槐亭)이다. 1693년(영조 19) 생원·진사시에 입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과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영해부 상해청(常惠廳)의 재물을 서...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괴시리 호지마을의 남유진(南有鎭)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이 마을은 영양남씨(英陽南氏) 집성촌이다. 고려 후기 함창김씨(咸昌金氏)가 입주한 이후 명종 대 수안김씨(遂安金氏), 영해신씨(寧海申氏), 신안주씨(新安朱氏), 인조 대 영양남씨가 입향하였다. 다른 성씨는 점차적으로 이거해 가고 영양남씨만 현재까지 세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남극만(南極萬)이 살림집으로 건립하였다. 남극만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회중(會仲), 호는 해촌(海村)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남유용이 건립한 고택. 영덕 괴시리 내앞댁(盈德傀市里-宅)은 남유용(南有鏞)[1842~1899]이 괴시리 호지마을에 건립한 살림집이다. 괴시리 호지마을은 고려 후기 함창김씨를 시작으로 조선 명종 때 수안김씨, 영해신씨를 비롯해 인조 때 영양남씨가 이거한 영덕의 대표적인 전통마을이다. 이후 다른 성씨는 이주하고 영양남씨만 세거하고...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용이 건립한 고택. 영덕 괴시리 사곡댁(盈德槐市里沙谷宅)은 괴시리 전통마을 내에 자리한다. 이 마을은 400여 년 된 영양남씨 단일 집성촌으로, 영덕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마을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흥수가 건립한 살림집. 영덕괴시리영감댁은 남흥수(南興壽)[1813~1899]가 건립한 살림집이다. 남흥수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치유(穉猶), 호는 호은(濠隱)이다.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증직(贈職)되었다. 경목재(景牧齋)를 중수하고 입천정(卄川亭)과 만서헌(晩棲軒)을 건축...
-
경상북도 영덕군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공수가 건립한 살림집. 영덕괴시리영은고택은 남공수(南公壽)[1793~1875]가 건립한 살림집이다. 남공수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치도(穉道), 호는 영은(瀛隱), 만호(晩號)는 농산(聾山)이다. 마을에 침수정(枕漱亭)을 짓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한묵초결(翰墨抄訣)』, 『계훈촬요(溪訓撮要)』, 『금릉일록(金陵日錄)』, 『행우...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영덕 난고종택(盈德蘭皐宗宅)은 원구전통마을에 세거하는 영양남씨 종택이다. 영양남씨는 남준(南峻)[1474~1550]이 평해에서 원구리로 이거한 이래 이곳에 터를 잡고 살고 있다. 난고종택은 남경훈(南慶薰)[1572~1612]의 큰아들인 안분당 남길(南佶)[1595~1654]이 건립하였다. 남경훈의 자는 응화(應和), 호는 난고...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 있는 무안박씨 가문의 고택. 영덕도곡동충효당(盈德陶谷洞忠孝堂)은 박선(朴璿)[1596~1669]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박선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계헌(季獻), 호는 도와(陶窩)이다. 1655년(효종 6) 조산대부 동몽교관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후학 양성에 주력하였다. 1689년(숙종 15) 유림들이 공의를 모아 도계서원(陶溪書院)에 제...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영덕만괴헌(盈德晩槐軒)은 1843년 신재수(申在洙)[1798~1855]가 매입한 후 거주한 전통 가옥이다. 신재수의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희중(犧重) 또는 성숙(聖叔), 호는 만괴헌(晩槐軒)이다. 신재수는 영해 지역에 큰 흉년이 들자 이듬해 봄까지 굶주리는 지역민들에게 백미를 나누어주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조정에서...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영덕 만송당(盈德晩松堂)은 권경(權璟)[1604~1666]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권경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옥(景玉), 호는 대은(臺隱)이다. 『대은문집(臺隱文集)』이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盈德務安朴氏武毅公派宗宅)은 무의공 박의장(朴毅長)의 후손이 대대로 거주하는 집이다. 박의장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사강(士剛), 호는 청신재(淸愼齋), 시호는 무의(武毅)이다. 김언기(金彦璣)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으며, 1577년(선조 10)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 때 군공을 세워 선무...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호지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남곤수(南崑壽)가 건립한 살림집이다. 남곤수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치묘(穉昴), 호는 백회재(百悔齋)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안동권씨 가문의 조선 후기 살림집. 영덕번호댁(盈德樊湖宅)은 관어대마을에 현 소유자 권기항(權奇恒)의 8대조가 18세기 말에 건립하였다. 마을은 1509년(중종 4) 안동권씨 권의철(權宜喆)·권의협(權宜悏) 형제가 마을을 개척한 이후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인량리에 정착한 영천이씨 하연공파(賀淵公派) 이중량(李仲樑)[1504~1582]의 종택이다. 이중량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공간(公幹), 호는 하연(賀淵)이다. 아버지는 이현보(李賢輔)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권효성(權孝誠)의 딸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안동권씨 부정공파 영해문중이 정착한 괴시리 관어대에서 인근 병곡면 송천리로 이주해 1700년대에 지은 살림집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영양남씨 남고의 살림집. 영덕 시암고택(盈德時庵古宅)은 원구리에 세거하는 영양남씨 일족의 살림집이다. 택호는 남고(南皐)[1807~1879]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남고의 자는 중원(仲元), 호는 시암(時庵)이다. 류치명(柳致明)의 문인이다. 『시암선생문집(時庵先生文集)』 등 많은 서책을 편찬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전기 권책이 건립한 종택. 영덕 오봉종택(盈德五峯宗宅)은 권책(權策)[1444~?]이 거주하던 종택이다. 권책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지(經之), 호는 오봉(五峯)이다. 안동권씨 인량리 입향조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무안박씨 가문의 살림집. 박중상(朴重相)[1692~1752]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박중상의 본관은 무안(務安), 호는 우경(虞卿)이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 이시형(李時亨)[1586~1612]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이시형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태숙(泰叔), 호는 우계(愚溪)이다. 아버지는 이함(李涵)이다. 효도와 우애가 극진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영양남씨 가문의 누정. 인량리에 세거하는 영양남씨 가문에서 건립한 누정이다. 영양남씨 인량리 입향조는 남수(南須)로 1395년(태조 4) 울진에서 태어났다. 인량리에 세거하는 대흥백씨(大興白氏)와 혼인을 하면서 인량리로 이거한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유원이 건립한 살림집. 영덕오촌리냉천고택(盈德梧村里冷泉古宅)은 이유원(李猷遠)[1695~1773] 건립한 살림집이다. 이유원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굉보(宏甫), 호는 냉천(冷泉)이다. 이휘일(李徽逸)의 증손으로 작은할아버지 이재(李裁)에게 수학하였다. 저서로 『안릉세전(安陵世典)』, 『가승(家乘)』, 『연총(聯叢)』, 『존갈...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호지마을에 있는 영양남씨 가문의 종택. 17세기 말 남붕익(南鵬翼)[1641~1687]이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남붕익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자거(子擧), 호는 입천(卄川) 또는 회수(晦叟)이다. 권경(權璟)의 문인이다. 1673년(현종 14)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균관 전적을 시작으로 예조좌랑(禮曹佐郎), 영산현감(靈山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영해주곡댁(寧海注谷宅)은 괴시리 호지마을에 있는 전통 가옥이다. 주곡댁이라는 택호(宅號)는 소유자의 선조인 남경괄(南景适)[1863~1942]의 처향인 경상북도 영양군 일원면 주곡리에서 연유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호지마을에 있는 영양남씨 가문의 조선 후기 살림집. 영해경주댁(寧海慶州宅)은 남세하(南世夏)[1490~1574]가 인량리에서 분가하여 괴시리로 이주할 때 수안김씨가 살았던 건물로 전한다. 남세하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우경(禹卿)이다. 영양남씨 영해 입향조 남수(南須)의 증손이다. 용양위 부호군으로 상장(上將)에 제수되었으며 통정대부에 증직되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경악이 건립한 고택. 영해구계댁(寧海邱溪宅)은 남경악(南景岳)[1763~1821]이 건립하였다. 남경악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종오(宗五), 호는 졸헌(拙軒)이다. 『졸헌유고(拙軒遺稿)』가 전해진다....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현일이 건립한 살림집. 오촌리갈암고택(梧村里葛庵古宅)은 이현일(李玄逸)[1627~1704]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이현일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字)는 익승(翼昇), 호는 갈암(葛庵)이다. 아버지는 참봉 이시명(李時明)이며, 어머니는 안동장씨 장흥효(張興孝)의 딸이다. 인량리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거두로 '이황(李...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김씨 가문의 종택. 인양리용암종택(仁良里龍巖宗宅)은 김익중(金益重)[1678~1740]이 살림집으로 건립하였다. 김익중의 본관은 선산(善山)이고 자는 상삼(尙三)이며 호는 용암(龍庵)이다. 아버지는 참판으로 증직된 김천길(金天吉)이다. 1721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守門將) 겸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미조항과 우수영(右水營...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살림집과 개항기 정자. 존재종택(存齋宗宅)은 이휘일(李徽逸)[1619~1672]의 살림집이고, 명서암(冥棲庵)은 이휘일의 강학처이다. 이휘일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익문(翼文), 호는 존재(存齋)이다. 이시명(李時明)의 아들로, 승의랑(承議郎) 이시성(李時成)에게 입양되었으며, 어머니는 장흥효(張興孝)의 딸 안동장씨이다. 형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지족당(知足堂)은 권만두(權萬斗)[1674~1753]가 건립하였다. 권만두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용경(用卿)이고,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다. 장수현감을 사임한 후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고 학문에 힘썼다. 유생들과 함께 『사례절요서(四禮節要書)』를 짓고, 『영해읍지』를 편찬하였다. 장수현감 재직시에 일어난 무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