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룡사 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54
한자 白龍寺浮屠
영어공식명칭 Stupa of Baengnyong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가정길 277-132[두정동 45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염승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부도
재질 석재
크기(높이) 왼쪽 부도- 1.6m[높이]|오른쪽 부도- 1.9m[높이]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 양림사 입구에 있는 2기의 조선시대 부도.

[개설]

백룡사 부도(白龍寺浮屠)양림사(養林寺)로 올라가는 길 왼쪽에 있다. 백룡사 부도양림사와의 거리는 100미터가량 된다. 양림사는 1945년에 건립된 사찰로 건립 당시 명칭은 백룡사(白龍寺)였다. 양림사는 폐사된 양림사지(養林寺址)에 있었다.

백룡사 부도는 총 2기의 석종형(石鍾形) 부도를 일컫는다. 부도 모두 정면에 탑호가 음각되어 있으나 희미하여 파악이 어렵다. 『광주의 불적』에서는 왼쪽 부도는 '벽해당(碧海堂)', 오른쪽 부도는 '연회당(淵晦堂)'이라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의 조사에서는 왼쪽 부도는 '벽회당(碧晦堂)', 오른쪽 부도는 '동회당(洞晦堂)'이라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다고 하였다.

[형태]

백룡사 부도 중 왼쪽 부도는 높이 1.6m의 석종형 부도이다. 기단부는 팔각형의 지대석으로 구성되었다. 지대석은 정면과 측면의 일부에만 우주(隅柱)와 탱주(撑柱)가 돋을새김되었으며, 배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다. 지대석 상면에는 변형된 10엽의 겹꽃잎 복련(覆蓮)이 새겨져 있다. 탑신은 범종형(梵鍾形)이나 상부보다 하부의 둘레가 짧다. 탑신의 정면에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다. 탑신의 상부에는 굵은 횡대를 새겨 상륜부와 구분 지었다. 횡대의 하부에는 퇴화된 22엽의 홑꽃잎 복련이 새겨져 있다. 횡대의 상부에는 퇴화된 11엽의 홑꽃잎 앙련(仰蓮)과 앙련 사이에 연봉형(蓮峯形)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상륜부는 8엽의 홑꽃잎 앙련 위에 8개의 연봉이 조식되었으며, 그 위에 연봉형의 보주(寶珠)가 있다.

오른쪽 부도는 높이 1.9m의 석종형 부도이다. 기단부는 네 모서리의 각을 줄인 방형의 지대석으로 구성되었다. 네 모서리에는 1구의 동자상이 돋을새김되었다. 지대석 정면은 장방형으로 구획되었다. 정면의 중앙에는 5조의 동심원문이 새겨져 있고, 그 좌우에는 5개의 연주형(連珠形)을 돋을새김하여 우주를 표현하였다. 측면과 후면은 장방형 구획에 1개의 탱주가 돋을새김되었다. 지대석은 1단의 호형(弧形) 탑신 괴임이 있다. 지대석 상면의 네 모서리에는 거북이 조각되었다. 탑신은 범종형이다. 하부에 2개, 상부에 1개의 횡대가 새겨져 있다. 정면에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9개의 원문이 돋을새김되었다. 상부의 횡대 위에는 12엽의 겹꽃잎 복련이 새겨져 있다. 탑신에는 1단 각형(角形) 상륜 괴임이 있다. 상륜부는 최상부의 연봉형 보주를 중심으로 12개의 상이 조식되어 있다. 이를 3구의 귀면과 3구의 동물상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고 보기도 하고, 십이지상이 배치되어 있다고 보기도 하지만, 지금은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특징 및 평가]

양림사지에 위치한 2기의 백룡사 부도는 매우 장식적이나 기법은 퇴화되었다. 오른쪽 부도는 탑신에 범종에서 볼 수 있는 표현들이 조각되었다는 점에서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長城白羊寺逍遙大師塔)과 구례 화엄사 벽암당탑(求禮碧巖堂塔)과 양식적으로 유사하다.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1650년(효종 원년)에 건립되었고, 구례 화엄사 벽암당탑은 1660년(현종 원년)에 건립되었다. 구례 화엄사 벽암당탑은 지대석 상면의 네 모서리에 거북이 조각되었다는 점에서 백룡사 오른쪽 부도와 같으며,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룡사 오른쪽 부도와 상륜부의 형태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친연성(親緣性)이 있다. 기단부에 동물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 후기 부도의 특징이며, 탑신에 범종에서 볼 수 있는 표현들이 조각되는 것은 조선 후기 호남 지역 석종형 승탑의 특징이다.

백룡사 오른쪽 부도의 장엄조식(莊嚴彫飾)은 매우 독특하여 더욱 주목된다. 왼쪽 부도는 '벽해당' 또는 '벽회당'이라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다. 만약 탑호가 '벽해당'이라면 해남 대흥사(大興寺)에도 벽해당의 부도가 있기 때문에 양림사가 대흥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만, 부도의 형식은 다르다.

[참고문헌]
  • 『광주의 불적』(광주직할시, 1990)
  • 광산구 문화관광(https://www.gwangsan.go.kr/culture)
  • 디지털해남문화대전(http://haenam.grandculture.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