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947
한자 光州經濟自由區域廳
영어공식명칭 Gwangju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삼소로 270번길 25[월출동 98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광주경제자유구역청 - 광주광역시 북구 삼소로 270번길 25[월출동 987]지도보기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에 있는 투자 유치 전문 기관.

[설립 목적]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미래를 위한, AI 융복합 신산업 허브"라는 비전 아래, 투자유치 전문성과 미래 성장산업 연계를 통한 선순환 투자유치 혁신 생태계 조성, 비즈니스 최적지 환경 조성을 통한 풍요로운 광주건설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천]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2020년 5월 20일 국토부의 인공지능 융봉합 지구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치면서 시작되었다. 2020년 5월 25일~31일 스마트에너지1 토지 우선 분양, 스마트에너지2 1공구와 빛그린산단1-1단계 등을 준공했다. 2020년 6월 11일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에너지Ⅰ·Ⅱ, AI 융복합 산업지구로 구성된 광주경제자유구역이 지정·고시되었다. 6월 25일 인공지능 융복합 지구 연구개발특구 (변경)지정 및 개별계획이 고시되었으며, 29일 스마트에너지Ⅱ 산업단지계획 변경 승인 및 고시가 이루어졌다. 2020년 12월 31일 광주광역시 고시 제2020-552호로 인공지능 융복합지구 실시계획 승인이 고시되었다. 2021년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1월 27일 개청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2022년 현재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인공지능과 헬스케어 중심의 AI 융복합지구, 친환경자동차 중심의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 에너지신산업의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등 총 4개의 사업지구를 관할한다. AI 융복합지구는 인공지능 융복합단지 조성, 인공지능 융합인재 양성, 1,000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 투자펀드 조성 등을 진행하고 있다. 미래형자동차산업지구는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공장을 건설하고, 광주형 일자리 공동복지 프로그램 실현,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 친환경자동차 부품 인증센터 구축, 자율주행차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실증사업 등 기반 마련 등을 수행하고 있다.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는 한국전기연구원 개원, 차세대 고용량 배터리 레독스흐름전지 시험·인증센터 조성,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개교[2022년 3월] 등을 진행하고 있다.

[현황]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광주경제자유구역청장, 혁신성장본부장을 비롯하여 기획행정부[기획홍보팀, 운영지원팀], 투지유치부[혁신생태계팀, 인공지능융복합팀, 자동차팀, 에너지팀], 사업지원부[기업지원팀, 개발사업팀, 통합민원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현재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이 관할하는 사업지구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AI 융복합지구는 첨단3지구 연구개발특구로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일원[조성면적 1,106㎢, 분양시기 2025년 예정]에 자리하고 있다. 주요 개발 방향은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융합 집적단지, 연구기관, 생체의료이다.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Ⅰ은 에너지밸리 일반산업단지남구 대촌동 일원[조성면적 0.932㎢, 분양시기 2020년 5월]에 자리하고 있다. 주요 개발 방향은 에너지 혁신기업, 에너지 첨단클러스터이다.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Ⅱ는 도시첨단산업단지남구 대촌동 일원[조성면적 0.486㎢, 분양시기 2017년 12월]에 자리하고 있다. 에너지 연구기관, 에너지특화 R&D단지에 개발 방향이 맞추어져 있다.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는 빛그린산업단지광산구 삼거동 일원[조성면적 1,845㎢, 분양시기 2018년 10월]에 조성되어 있다. 주요 개발 방향은 완성차공장, 자동차 R&D센터, 첨단부품소재 등 친황경 미래차 생산 클러스터이다.

[참고문헌]
  • 광주경제자유구역청(https://www.gjfez.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