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774
한자 中小-企業振興公團光州靑年創業士官學校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456번길 40[장등동 125-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우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12년연표보기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 설립
최초 설립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456번길 40[장등동 125-2]
현 소재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456번길 40[장등동 125-2]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창업 교육 기관
설립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전화 062-250-3030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에 있는 청년 CEO 양성 기관.

[개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는 창업 성공 패키지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시행을 위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개설한 광주 지역 창업사관학교이다. 한국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들며 성장 동력이 저하되고 고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청년 창업이 축소되자, 정부가 사업비, 창업 공간, 교육, 코칭, 판로 지원, 정책 자금 융자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의 일환으로 개설하였다.

[설립 목적]

기술 창업 위주의 청년 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에 필요한 전 과정을 교육, 지원하여 청년 일자리 창출과 4차 산업 혁명에 기여하는 건전한 기업가 및 지역 특화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2011년에 혁신적인 청년 CEO의 양성을 목표로 경기도 안산에 청년창업사관학교를 개교했고, 2012년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청년창업사관학교를 개교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창업 후 3년 이내에 고용 및 부가 가치 창출이 높은 기술 집약 업종의 39세 이하 창업 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입교 대상자를 선발하여 창업 활동비, 시제품 제작비, 마케팅비, 청년창업사관학교 내 창업 준비 공간 등을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창업 단계별 집중 교육과 코칭, 제품 개발 과정의 기술 및 장비 지원과 함께 정책 자금, 해외 판로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현황]

본관과 후생동, 체육관을 보유하여 청년 창업자들이 이용할 수 있으며, 입소 가능 팀의 수는 25개 팀으로 제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 지역의 언론, 기업 등과 엠오유를 체결하고, 지속적인 홍보와 함께 현황을 공표하며 꾸준하게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생체 의료, 지능형 가전, 광 융합, 스마트 금형 등 광주 지역의 특화 업종을 우선 선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라남도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첨단 운송 기기 부품, 그린 에너지, 저탄소 지능형 소재 부품 등의 업종에 중점을 두고 있어 광주 지역 경제·산업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