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영상위원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474
한자 光州民族藝術人總聯合映像委員會
영어공식명칭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 영상위원회|광주민예총 영상위원회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운암동 328-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현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94년 9월 30일 -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19년 3월 -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에서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10월 1일 - 사단법인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 허가
최초 설립지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 영상위원회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운암동 328-16]
현 소재지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영상위원회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운암동 328-16]지도보기
성격 문화예술 단체
전화 062-529-1156
홈페이지 https://gjart.modoo.at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 있는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소속 영상분과.

[설립 목적]

민족예술을 지향하는 문화예술인의 연대와 민주화와 통일, 민중의 복리증진,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변천]

1994년 9월 30일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이 설립되었고, 2014년 사단법인으로 허가를 받은 후 2019년 3월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95년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은 정식 비디오 다큐멘터리를 표방한 「오월, 그날이 다시오면」을 제작하였다. 파격적으로 관람자의 몰입을 유인하는 나레이션을 배제하고 광주 관련 영상들을 정리하며 객관적 시각을 갖고자 하였다. 1998년 영상분과 활동가 박효선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영화 및 영상분과 활동이 침체되었으나 광주민족예술단체총연합의 분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은 민족문화예술 창작, 보급, 지원을 위한 사업과 함께 교육, 정책 개발, 장르 간 연대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 외에도 민족문화예술인의 권익과 복지를 위한 사업과 민중의 주체적 문화 활동 지원 및 육성을 위한 사업에 힘쓰고 있으며, 민족문화예술 전통의 전승과 보급을 위한 사업, 각 문화예술단체, 사회단체들과의 연대 사업, 지역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지역 간 소통을 위한 사업, 민족 예술의 세계 진출과 국제 교류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가나 공공기관의 수탁 및 위탁 사업, 기타 본 법인의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이 있다.

[현황]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은 2021년 기준 회장 박종화, 사무처장 이현미, 총무 편영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 단체로는 놀이패 신명, 광주민족미술인협회, 광주·전남 작가회의, 극단 토박이, 내벗소리민족예술단, 사단법인 오월음악, 영상분과, 한국현대사진가협회, 춤추는나무, 푸른솔합창단, 전통문화예술단 굴림, 씨쏘뮤지컬컴퍼니, 극단 깍지, 빛고을 풍물두레 물들꽃이 있다.

[참고문헌]
  • 광주민예총(https://gjart.modoo.a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