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49
한자 光山盧氏墳墓出土明器類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 출토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1월 15일연표보기 -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6호 지정
현 소장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1004-4번지 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지네골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지도보기
성격 부장품
관리자 광산노씨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6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지네마을 광산노씨 노옥손의 분묘에서 출토된 명기류.

[개설]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는 1987년 광주광역시가 생용동 일대에 우치공원 용지를 조성하던 중, 선대의 분묘를 이장하면서 명기류 36점이 발견되었다. 광산노씨 노옥손(盧玉孫)의 묘는 북구 생용동의 지네골로 불리는 야산에 자리하고 있었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전시 중이며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이다.

[형태]

도우(陶偶)[도자기로 사람의 모양을 만든 것]는 남녀 각 3점으로 크기는 비슷하지만 표정은 각양각색이다. 남자는 상투머리, 여자는 어여머리[머리 위에 얹은 머리] 형태이며, 양팔을 앞가슴에 모으고 있다. 마형기(馬形器)는 말안장을 얹은 모습이다,

[특징]

명기는 죽은 사람의 내세 생활을 위하여 무덤에 함께 부장하는 기물이다. 도우는 머리, 눈썹, 눈, 손 등을 철채로 나타냈는데 일부에는 옷고름과 옷섶까지 자세히 표현하고 있다. 광산노씨 명기류는 경기도 창록리 출토품,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소장품보다 수량이 많으며, 종류도 다양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의 유물로 추정되는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는 조선시대 전기 부장품 연구와 백자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마형기는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예가 없는 매우 귀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