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02
한자 忠孝洞旌閭碑閣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충효동 44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89년연표보기 - 충효동정려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92년연표보기 - 충효동정려비각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2월 25일연표보기 - 충효동정려비각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지정
현 소재지 충효동정려비각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충효동 440]지도보기
성격 비각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1칸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는 조선 후기 비와 비각.

[개설]

충효동정려비각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충효마을 입구에 있으며, 김덕령(金德齡)[1567~1596]과 김덕령의 부인 흥양이씨(興陽李氏), 김덕령의 형 김덕홍(金德弘)[?~1593]과 아우 김덕보(金德普)[1571~1627]의 충효와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와 비각이다. 김덕홍고경명(高敬命) 휘하에 의병으로 참여하여 금산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하였다. 김덕령은 형 김덕홍의 상중임에도 의병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다. 김덕령 부인인 흥양이씨는 왜병의 추격을 받고 순절하였으며, 김덕령의 아우인 김덕보는 두 형을 기리면서 풍암정(楓巖亭)을 건립하고 가족들을 보살폈다. 1789년(정조 13)에 비가 세워지고, 1792년(정조 16)에 비각이 건립되었다. 김덕령과 일가족의 충(忠), 효(孝), 열(烈)을 기리는 비각으로, 1985년 2월 25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충효동 440] 충효마을 입구에 있다.

[변천]

1789년에 비가 건립되고, 1792년에 비각이 건립되었다.

[형태]

비는 총높이 220㎝이며, 비신 높이 171㎝, 비신 너비 68㎝, 기단 너비는 110㎝이다. 비각은 정면 5칸, 측면 1칸이며 맞배지붕 건물이다.

[현황]

충효동정려비각 앞면에 '조선국 증좌찬성 충장공 김덕령 증정경부인 흥양이씨 충효지리(朝鮮國 贈左贊成 忠壯公金德齡 贈貞敬夫人興陽李氏 忠孝之里)'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원덕(元德) 서유린(徐有隣)[1738~1802]이 찬하고 서용보(徐龍輔)[1757~1824]가 쓴 음기(陰記)가 있다. 비각에는 '정묘어제윤음(正廟御製綸音)', '충효리비각상량문(忠孝里碑閣上樑文)', '충효리비중수기(忠孝里碑重修記)' 기문(記文)과 시 편액이 있다.

[의의와 평가]

충효동정려비각에서 김덕령 일가의 충효와 열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충효열을 강조한 조선 후기 사회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김덕령 일가의 임진왜란 전후의 행적을 볼 수 있다.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