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2150
한자 萬人譜
이칭/별칭 군산,민중성,민족성,4·19 혁명,5·18 민주화 운동,승려,토요 동인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재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33년 8월 1일 - 고은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2010년연표보기 - 고은『만인보』발표
편찬|간행 시기/일시 1986년~2010년 - 고은『만인보』30권으로 완간됨
편찬|간행 시기/일시 2010년 - 『만인보』 완간 기념 개정판 간행
편찬|간행 시기/일시 2013년 - 『만인보』 38권의 『고은 전집』(김영사)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4년 - 고은 한국 문학 작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 고은 『만인보』로 만해 문학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 고은 중앙 문화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고은 문화 관광부 문화의 날 은관 문화 훈장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고은 노르웨이 국제문학제 비외른손 훈장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고은 제3회 시카다 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고은 제5회 영랑시 문학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고은 그리핀 시인상 평생 공로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고은 대한민국 예술원상 문학 부문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고은 아메리카 어워드 수상
출생지 고은 출생지 - 전라북도 군산시 미룡동[전라북도 옥구군 미면 미룡리 용둔부락]
성격 연작 시집
작가 고은

[정의]

2010년 30권으로 완간된 군산 출신 문인 고은의 인물 연작 시집.

[개설]

『만인보』는 1980년 고은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으로 남한 산성 육군 교도소 수감 중에 구상되었다고 전해진다. 1986년 3권을 발표하기 시작하여 2010년 30권으로 완간되었다. 최소한 3,000명에 대한 시를 쓰겠다고 공언했고 최종적으로 쓴 시편은 4,001편이었다. 고은 스스로는 “세상에 와서 알게 된 사람들에 대한 노래의 결집”이자 “어린 시절의 환경과 온갖 편력의 지역, 동시대의 사회 그리고 이 땅의 역사와 산야에 잠겨 있는 세상을 하나의 현재 안에 동거”시키겠다고 『만인보』 1권에서 밝힌 바 있다.

[구성]

『만인보』의 구성을 한 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시집은 시인의 어린 시절 및 세상의 편력을 그때그때 만나거나 간접적으로 전해 들었던 인물들을 형상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종종 역사적인 인물들을 시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그 중에서 시인의 어린 시절 및 세상 편력을 담는 방법은 시간적 흐름, 또는 주요한 역사적 사건이다.

[내용]

『만인보』는 4,001편의 시를 싣고 있다. 몇몇 역사적 인물을 제외하면 시 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고은이 직접 보거나 들은 동시대의 인물들로서 1940년대부터 1980년에 이르는 시기에 걸쳐 있다. 시인 고은은 이 인물들의 특장을 또는 대표 사건을 적절히 뽑아서 형상화해나가는데, 모든 인물을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지는 않다. 특정한 방향성이 있는 것이다.

『만인보』의 특정한 주제적 방향성은 흔히 공동체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이라 지적되어 왔다. 가난하거나 평범한 사람들이 가지는 가족적인 애착에서부터 애린과 연민, 나아가서 민족을 위한 희생의 정서 역시 그러한 공동체적 특성의 일부이다. 특히 어린 시절의 향수가 넘치는 시들은 그러한 공동체적 특성에 비역사적인 설화성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잠재적 요소가 많다는 점도 지적된 바 있다.

역사 의식은 이들에게 비역사적인 설화성과 역사성이 상호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이끌어준다. 연대의 정신으로 가득한 민중성과 올바른 역사를 수립하고자 하는 민족성이 상호 침투하여 양극을 여의는 중도적 화엄의 세계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인보』에서 민중적 연대성과 역사성의 양 축을 함께 고민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의와 평가]

『만인보』고은 시인의 역작이자 민주주의적 가치를 위해 헌신해왔던 한국 문학의 정점이기도 하다. 자유 실천 문인 협회에서 오늘날의 한국 문학 작가 회의로 이어지는 문학적 양심의 대오의 선두에 섰던 시인답게 고은은 풍부한 시어와 전의적 화용으로 방대한 역사-인물 연작을 형상화하였다. 『창작과 비평』 2006년 봄호에 실린 백낙청과 황종연의 대담에서 『만인보』가 둘의 해석 차를 드러내는 중요한 지점으로 드러났던 것도 그만큼 이 작품의 가치가 높으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지역사적으로 보자면 『만인보』의 1~6권에 이르는 작업에서 군산에 살던 인물을 다수 다루고 있는 점에 주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시 창작을 시작했던 토요 동인회를 배경으로 하는 송기원, 정윤봉, 김순근, 이덕, 나병재, 홍건직 등에 대한 시와 그에 얽힌 사연은 군산 지역 문학의 역사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