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2091 |
---|---|
이칭/별칭 | 애바위,중바위,개바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집필자 | 박순호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0년 7월 10일 - 「중바위 전설」 채록 |
---|---|
채록지 | 「중바위 전설」 채록지 -
군산시 해망로 582-11[소룡동 665]![]()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시아버지|며느리|중 |
전라북도 군산시 소룡동에서 채록된 설화.
「중바위 전설」은 1980년 7월에 채록되었고 내용만 전하고 있다.
지금은 행정상으로 군산시에 속해 있지만 옛날에는 옥구 땅인 미면에 아직 못이 없었을 때였다. 그곳에 심술이 사나운 부자 한사람이 살고 있었다. 천성이 인색한 데다 마음씨조차 나빠 가난한 이웃이 있어도 한 번도 도와주는 일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루한 승복을 걸친 거지 중 한 사람이 이 집 문 앞에 와서 목탁을 두드리고 염불을 하며 시주를 요청하고 있었다. 이것을 본 부자 주인은 사지가 멀쩡한 놈이 무슨 시주하라고 하느냐고 오히려 호통을 쳤으나, 중은 여전히 시주를 간청했다. 그러자 주인은 별 수 없다는 듯 안으로 들어가더니 헛간에서 오줌 바가지를 가져다가 거기에 분뇨를 가득 담아가지고 중의 배낭에 한 바가지 부어 넣는 것이었다.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던 그 집 며느리가 하도 딱해서 똥바가지를 뒤집어쓰고 쫓겨나는 그 중의 뒤를 쫓아가 쌀 한 되를 시주하면서 시아버지의 허물을 비는 것이었다.
그러자 한참 며느리를 바라보고 있던 중이 이윽고 입을 열어 “실은 소승은 부처님의 사자로서 당신 시아버지께서 하도 지독하시다기에 조사차 내려온 것인데 과연 소문대로군요. 당신의 시아버지는 필시 곧 화를 입을 것입니다. 그 대신 부인은 부처님의 자비를 받을 것이니 빨리 내 뒤를 따르시오.”하는 것이었다.
며느리는 이 말을 듣자 부지런히 집에 돌아와 어린애를 등에 업고 그 중의 뒤를 따랐다. 그 중은 그때 또 “내 뒤를 따르되 이 마을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는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아라”라고 아울러 당부하는 것이었다.
한참 중의 뒤만 정신없이 따라 가다가 언덕에 올라서자 이 며느리는 별안간 집을 떠나오기는 했지만 그 동안 정들었던 땅과 정든 집을 버리고 떠나는 아쉬움과 서운함에 그 중의 당부를 잊고 무심코 뒤를 돌아보고 말았다.
그러자 방금 전까지만 해도 자기가 살았던 그 마을과 집은 온데간데도 없고 집채만한 파도들이 온 마을을 뒤덮고 있는 것이 아닌가. 순간 뒤를 바라보지 말라던 중의 간곡한 주의를 상기한 부인은 깜짝 놀라 고개를 돌려 다시 앞으로 가려는 찰라. 온 몸이 돌처럼 굳어지고 아이를 업은 채로 그 자리에서 꼼짝도 못한 채 중과 함께 돌이 되어 버렸던 것이다.
현재의 미면에 있는 방죽은 이렇게 해서 생겼다고 하며 지금도 그 방죽 밑에는 그 부자가 소유했던 금은 보화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아직도 남아 있는 ‘애바위’ ‘중바위’ ‘개바위’라는 이름이 이러한 전설에 의해 생긴 것이라 전하여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