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721 |
---|---|
한자 | 金斗安潭陽田氏夫婦旌閭碑 |
이칭/별칭 | 쌍효비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미제길 10-4[미룡동 397-9]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규홍 |
전라북도 군산시 미룡동 미제 마을에 있는 근대기 정려비.
김두안(金斗安)은 선산(善山) 김씨로, 백암(白岩) 제(濟)의 후손 증비서경(贈秘書卿) 병익(炳翊)의 아들이다. 자는 순명, 호는 호은으로, 궁내부 참서관을 지냈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부친의 병세가 악화되자 자기의 손가락을 잘라 지혈을 먹여 3일 간 소생시켰고, 상을 당해서는 상례에 맞게 잘 치렀으며, 3년 동안 아침저녁으로 묘에 가서 곡을 하였다. 1906년 최익현과 함께 의병 운동에 참여하였다.
효부 담양전씨(潭陽田氏)는 문명공(文明公) 녹생(祿生)의 후손인 창오(昌五)의 딸로서 김두안의 처이다. 남편과 함께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으며 시부모의 병환에 시탕을 잘 하였고 상례를 법도 있게 잘 하였다고 한다.
김두안·담양전씨 부부의 효행을 후세에 길이 전하기 위해 1926년 쌍효비를 세우고 쌍효각을 건립하였다.
전라북도 군산시 미룡동 미제 마을 내 명성 스파 건물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김두안·담양전씨 부부 정려비의 비각은 팔작지붕, 겹처마로 이루어졌으며, 벽돌로 된 기와 담장이 둘러쳐 있다.
의친왕의 친필 ‘일문쌍효 부식윤강(一門雙孝 扶植倫綱)’이라는 8자의 글귀를 비각 양 옆에 걸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