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582 |
---|---|
한자 | 十二東波島海底遺蹟出土船體片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신소미 |
출토|발굴 시기/일시 | 2003년 10월~11월 - 국립 해양 유물 전시관에서 수중 발굴 조사를 실시함. |
---|---|
출토|발굴 시기/일시 | 2004년 5월~6월 - 국립 해양 유물 전시관에서 수중 발굴 조사를 실시함. |
현 소장처 |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선체편 - 국립 해양 문화재 연구소 |
출토|발견지 |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선체편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 |
성격 | 선체 |
재질 | 목재 |
크기(높이,길이,너비) | 길이 약 7m|너비 2.5m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저유적에서 인양된 고려 시대 선박의 선체.
선체는 편평한 저판과 ‘L’자형 부재인 만곡부재(彎曲部材)를 갖추고 있는 평저형 구조이다. 그러나 선체의 대부분이 유실되고 개흙에 묻혀있던 저판과 만곡종통재(彎曲縱通材) 일부만 남아있어 정확한 구조는 파악할 수 없었다. 즉, 선체의 상부는 대부분 유실되고 저판(底板)과 만곡부(彎曲部), 선수부(船首部), 외판(外板) 등 일부만 인양되었다. 선체의 잔존 규모는 약 7m, 너비 2.5m인데 저판과 각 부재의 크기 등으로 볼 때 전체 길이는 14~15m 규모로 추정된다.
십이동파도 해저유적에서 인양된 선체는 갑판 등 상부가 남아 있지 않으나, 평저형의 저판과 만곡종통재(彎曲縱通材)를 비롯한 저판 결구용 장삭(底板 結構用 長槊), 외판 지지재(外板 支持材)인 가용(加龍)을 갖춘 전통 한선이다.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인양 선박의 운항 시기는 11세기 후반~12세기 초반으로 추정되어 완도선[12세기 초] 및 목포 달리도선[14세기]과 함께 고려 시대 한선의 발전 과정과 선체 구조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