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0550 |
---|---|
한자 | 日本人撤收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종안 |
해방 이후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본국으로 귀환한 사건.
일본이 만주 사변을 일으킨 1931년 이후 병참기지화 했던 군산은 다른 도시에 비해 해방을 조용히 맞았다. 일본 군대[수호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고, 일본인 거주자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1944년 5월 현재 군산[옥구군 포함]에는 1만 1095명의 일본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군산을 피해 부안이나 고창을 통해 철수하기에 이르자 일본인들은 자국민 보호와 무사 귀환을 위해 1945년 8월 19일 세화회(世話会)라는 조직을 만들어 대처한다. 남선 합동 전기 부사장이던 일본인 쓰지구치[口虎三]가 회장을 맡은 세화회는 처음에는 상공 회의소에 사무실을 두었다가 후에 군산 유치원으로 옮겨 활동하기도 하였다.
미국 군정청의 철수 계획에 따라 일본 사람들은 한국을 떠났다. 천황의 항복 소식을 접하고 집안에서 두문불출하던 군산·옥구와 인근 지역 일본인 2만여 명이 보따리를 싸들고 귀국선을 타기 위해 군산 초등학교에 모였다. 군산 시민은 그 광경을 보면서 진정 광복이 왔음을 실감했다고 한다.
당시 일본인 중에는 귀국을 거부하는 대 농장주도 있었고, 중요 물자 반출을 막는 건국 준비 위원회 위원에게 짐을 압수당하자 음독 자살하는 일도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