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700092
한자 錦江
이칭/별칭 웅진강,백마강,고성진강(古城津江),호강(湖江)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북도 군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천
면적 유역 면적: 9,912.15㎢
길이 397.79㎞

[정의]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에서 발원하여 군산시에서 서해로 흐르는 강.

[개설]

금강은 전국 주요 5대 강 가운데 하나이며, 남한에서는 낙동강·한강 다음으로 큰 강이다.

[명칭 유래]

『동국여지승람』에는 금강은 공주에 이르러서는 웅진강, 부여에서는 백마강, 하류에서는 고성진강(古城津江) 등으로 불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굽이치며 흐르는 강의 물결이 비단결 같다는 뜻으로 금강(錦江)이라 부르게 되었다. 금강 외에 호강(湖江)으로도 불린다.

[자연 환경]

금강은 동경 126°41′에서 128°25′ 사이와 북위 35°35′에서 37°5′ 사이에 있으며,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절반과 전라북도의 약 1/4을 차지하고, 경기도와 경상북도 경계선에도 걸쳐있다. 우리나라에서는 3번째로 큰 강이다.

전라북도 장수군 일대의 산악 지대에서 발원한 금강은 노령 산맥과 차령 산맥 사이에서 여러 소지류들과 합류하여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까지는 굽이져 흐르나, 충청남도 부여 지역부터는 커다란 강폭을 나타내며 대체로 평탄한 충적 평야를 지나 서해로 흘러든다.

금강 상류에는 산악 지대의 침식 계곡을 따라 소하천들이 발달해 있으며, 홍수 유량(洪水流量) 대 갈수 유량(渴水流量)의 비를 나타내는 하상 계수(河狀係數)는 금강이 다른 4대 강들보다 적은 것으로 보아 7월과 8월에 집중되는 홍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금강 지역의 연중 평균 기온은 11.7℃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금강 지역은 7월과 8월이 약 25℃ 이상의 높은 평균 기온을 나타내고 있으며, 1월에는 영하의 낮은 기온을 보이고 있어 연중 월평균 기온 차이가 27.9℃를 가리키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금강 유역의 강우량은 6월과 9월 사이에는 월평균 100㎜ 이상의 강우량을 나타낸다. 7월과 8월 두 달 사이의 강우량이 연평균 강우량 1,184㎜의 약 42%인 500㎜이다. 한편, 건기(乾期)에 해당하는 12월과 1월 사이에는 월평균 30㎜ 내외의 극히 적은 강우량을 나타내고 있다.

금강 상류에는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한 지질 구조선들을 따라서 지류가 발달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구량천이나 남대천처럼 구조선의 발달과는 무관하게 굽이져 흐르는 지류들도 있다.

충청남도 금산읍과 옥천읍, 대전광역시가 위치한 지역들은 원 모양의 분지형 침식 지형을 보이고 있다. 금강 하류 중에서 충청남도 강경 부터 남서쪽 지역은 넓은 충적 평야층이 발달해 있으며, 군데군데에 고립된 조그만 낮은 구릉지들이 남아 있기도 하다.

금강은 전반적으로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령 산맥과 노령 산맥 사이의 낮은 지형을 따라 발달한 강이다.

[현황]

금강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뒷산인 신무산의 뜬봉샘이다. 뜬봉샘에서 발원한 금강은 상류의 전라북도 진안군,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옥천군 등을 거쳐 중류의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논산시 등을 지난다. 또 하류의 충청남도 서천군,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군산시 나포면·성산면을 끼고 흘러 구암동·해망동 등지에서 서해와 합류한다.

유역 면적은 9,912.15㎢, 유로 연장은 397.79㎞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길다. 총 468개의 지류가 합류하며, 제방은 2,296.47㎞로 53.16%의 구간에 걸쳐 있다. 제방 보강 필요 구간은 1,496.25㎞이며 제방 신설 필요 구간은 1,642.19㎞이다.

금강의 하류는 군산시 나포면을 지나 금강 하구인 군산시 성산면까지의 지역으로, 넓은 충적 평야를 통과하고 있다. 금강을 따라 발달한 충적 평야는 오래전부터 한반도 중부 지역의 주요 곡창 지대로 알려져 왔으며, 지역 주민들의 풍요로운 삶의 터전이 되었다.

금강은 풍부한 유량과 넓은 강폭으로 오래전부터 서해와 내륙을 연결하는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풍부한 금강의 수운(水運)[강이나 바다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름]을 바탕으로 오래전부터 포구가 발달하여 나포·서포·경포 등은 인적 자원의 이동뿐 아니라, 물적 자원의 내륙 지역 유통을 담당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조운 제도의 정비와 함께 설치된 13개 조창 중의 한 곳인 진성창의 위치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군산창이 위치하였다. 1572년(중종 7)에 용안 득성창(得成倉)의 기능을 군산창으로 옮겨, 영광 법성창에서 수납하던 흥덕·고부·정읍·부안 등의 조세를 수납하던 호남의 대표적인 조창으로서 운영되었다.

일제 강점기 호남선의 개통과 육로 교통의 발달이 있기 전까지는 금강 하구에 위치한 군산 지역을 기점으로 금강 유역 내륙 깊숙이 강경·청주·대전 지역 인근의 부강(芙江)까지 배가 오르내리며 교통로와 물류의 주요 유통로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백제 시대부터 내륙 수로로 중요하였던 금강은 19세기 말경부터 경부선과 호남선이 개통될 때까지 하운이 절정에 이르렀다. 충청남도 강경읍은 1899년에 군산이 개항되면서 군산과 부여·공주·부강을 연결하는 중계 하항, 또는 금강 유역의 물산 대집산지로 발전하였다. 강경의 정기 시장은 대구와 평양의 시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시장의 하나로 급성장하였다.

군산에서는 주로 수산물과 면포·석유·성냥·사탕 등의 수입품이, 부여·공주·부강에서는 쌀을 주로 하는 농산물이 금강을 통하여 강경으로 운송되었다. 쌀은 군산을 거쳐 일본으로 수출되었는데, 군산에서 부강까지 올라가는 데는 3,4일, 반대로 내려가는 데는 1,2일이 걸렸다.

경부선이 부설될 때 부강까지 철도 부설 재료들을 선박으로 운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05년에 부강을 경유하는 경부선이 개통되고, 1912년에 호남선의 일부 구간인 대전-강경-익산 구간과 군산선이 개통됨으로써 금강의 수운과 강경의 정기 시장은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

한편, 금강은 군산시에 접한 하구를 중심으로 최근 들어 생태 관광지로서 탈바꿈하고 있다. 금강 철새 조망대가 중심이 되어 매년 군산 세계 철새 축제가 개최되고 있고, 철새 체험과 철새 생태를 위한 다양한 친환경 시설들이 들어서고 있다.

금강 하굿둑이 개통된 199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하굿둑 유휴 부지에 금강호 관광지가 조성되었고, 채만식 문학관, 구불길 등이 만들어져 과거 내륙 수로라는 한정된 기능을 벗어나 다양한 기반 시설을 갖춘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