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장공우복정선생권학흥교비개건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527
한자 文莊公愚伏鄭先生勸學興敎碑改建記
영어의미역 Record of the Restoration of the Munjanggong Monument Erected for the Promotion of Educatio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강릉시 교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호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문
작가 조규상(曺圭常)
창작연도 1933년
창작연도/발표연도 1933년연표보기
주요 등장인물 정경세(鄭經世)

[정의]

우복(愚伏) 정경세[1563-1633]가 세운 강릉향교 권학비를 1933년 재건립하면서 작성한 기문.

[개설]

조선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우복 정경세가 학문의 권면과 교육의 진흥을 위해 세운 권학비문이 낡고 오래되어 소멸되어가는 것을 일제 강점기에 강릉 지역의 유림들이 뜻을 모아 새로이 제작하여 세웠다.

[창작경위]

1932년 가을 최재하(崔在河) 등이 우복 정경세가 세운 권학흥교비(勸學興敎碑)가 세월이 오래되어 훼손이 심한 것을 걱정하면서 재건립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후 지역 유림들은 향풍을 진작하고 권학비의 취치를 살리기 위해 재건립을 결의하고 완성하였다. 재건기(再建記)는 문묘직원(文廟直員)[현재의 향교 전교(典校)] 조규상(曺圭常)이 썼다.

[내용]

권학비의 재건 사유, 재건과정 및 재건비용 충당 사실 등이 적혀 있다. 이 글을 쓴 조규상이 문묘에서 자잘한 사무를 보고 있을 때 여러 선비들의 모임을 갖게 되었다. 이 자리에서 최재하가 "우복정경세권학흥교비가 명륜당 앞에 있는데, 세월이 많이 흘러서 글자의 획이 침식되어 거의 없어진 상태이고, 그나마 남아 있는 10여자도 흐려져서 세월이 더 지나도록 마모가 되면 영영 알아볼 수 없게 되는 지경이 될 것"이라 하였다. 이에 조규상은 자신이 비록 불민한 사람이지만 문묘의 일을 보는 자리에 있으니 이 일을 회피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일본인 강릉군수 다키자와 마코토[濃澤誠]가 유교의 교화와 풍속의 진작을 급선무로 여기는 즈음에 이 나라의 교육을 진흥하는 일을 심상하게 둘 수는 없다고 하였다. 이미 205원의 금액이 기탁되었으니 조규상은 여러 유지들의 힘을 모아 사양하지 않고 책임을 다하여 정성과 진력을 바쳐 비문의 복원에 힘쓰고자 했다.

새로 좋은 돌을 구해 글자를 새기고 그 사이에 빠져서 누락된 37자는 김병환(金秉煥)과 박원동(朴元東)에게 부탁하여 글의 뜻에 따라 보충하게 하였다. 글씨는 옛 글이 깍여 나가 보기 어려우므로 직원(直員) 최문길(崔文吉)에게 부탁하여 다시 쓰게 하고 성명은 여전히 고치지 않고 영원히 없어지지 않는 뜻을 보이게 했다. 비각(碑閣)을 새로이 칠하여 깔끔하게 하는 일에는 간사를 보는 사람인 최응익, 유승열, 신성묵, 김회경, 정호덕, 최진태 등 여러 사람의 정성어린 마음을 모았다.

[특징]

일제 강점기에 강릉시 지역의 유림들이 힘을 모아 학문을 권하고 교육을 진흥하자는 뜻의 비문(碑文)을 정비하여 새로이 비를 세운 내용을 적은 글이다. 특히 당시 강릉군수였던 일본인 다키자와 마코토가 우리나라의 문풍(文風)·교화(敎化) 진흥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