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230
한자 銅雀大橋
영어공식명칭 Dongjak Grand Bri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은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84년 11월 14일연표보기 - 동작대교 준공
전구간 동작대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서초구|용산구
해당 지역 경유 구간 동작대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지도보기
성격 교량
길이 1920.0m
차선 왕복 6차선
28.6m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서초구 반포동과 용산구 용산동6가를 연결하는 다리.

[명칭 유래]

동작대교(銅雀大橋)는 반포대교와 한강대교 사이에 위치한 11번째 한강 다리로, 조선 시대 한양으로 통하는 관문이었던 동작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제원]

동작대교는 길이 1920.0m, 총폭 28.6m, 유효폭 24m, 높이 25m이다. 경간 수는 12개, 최대경간장 80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STB, 하부구조 형식은 RAP, 설계하중은 DB-24이다. 동작대교지하철 4호선의 복선 철도교를 포함한 병용 교량이다.

[건립 경위]

동작대교는 1970년대 과천 신도시 계획에 따른 동작대로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동작대교 건설을 통해 신도시인 과천과의 연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서울 인구를 분산시키면서 한강대교, 반포대교의 교통량도 분산시키고자 하였다.

[변천]

동작대교는 1984년 11월 14일에 개통하였다. 착공부터 사업을 담당하던 대우건설은 완공 이후 20년간 통행요금 징수를 계획하여 동작대교 남단은 요금소 설치를 위해 폭을 넓게 건설하였지만 사업비 증가로 사업권을 서울특별시에 반납하면서 무산되었다.

[현황]

동작대교한강 이북의 동부이촌동과 한강 이남의 동작동을 연결함으로써 교통체증이 빈번했던 한강대교와 잠수교의 통행량을 분산하고 있으며, 서울 도심부에서 경기 남부로 연결하는 이동시간을 단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동작대교의 도로교는 서울시설공단, 철도교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