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590
한자 李陽元
영어공식명칭 Yi Yangwon
이칭/별칭 노저(鷺渚),남파(南坡),문헌(文憲)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26년연표보기 - 이양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56년 - 이양원 알성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63년 - 이양원 호조 참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90년 - 이양원 광국공신, 한산 부원군에 책봉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이양원 우의정 역임
몰년 시기/일시 1592년 7월 1일연표보기 - 이양원 사망
묘소|단소 이양원 묘소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송전리 산61-23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문헌묘(文憲廟)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송전리 산361-1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전주(全州)
대표 관직 우의정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이양원(李陽元)[1526~1592]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유도대장(留都大將)[임금이 서울을 떠나 거둥할 때, 도성 안을 지키던 대장]으로 한강을 수호하고 왜적을 무찔렀으나, 선조가 의주를 넘었다는 와전된 소식을 접하고 단식 끝에 순절하였다.

[가계]

이양원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노저(鷺渚)·남파(南坡),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정종의 아들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풍안수(豊安守) 이옥석(李玉石), 할아버지는 비홍령(飛鴻令) 이난손(李蘭孫)이다. 아버지는 이원 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이며, 어머니는 정양(鄭瑒)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양원은 1556년(명종 11)에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다. 이후 저작(著作)을 거쳐 1563년(명종 18) 호조 참의가 되었다. 그해에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들어가 객사한 정사(正使) 김주(金澍)를 대신하여 명나라의 『태종실록』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가 고려의 이인임(李仁任)으로 잘못 기록된 것을 바로잡고 돌아와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평안도·충청도·경기도 관찰사, 형조 판서, 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후에,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의 공로로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과 한산 부원군에 봉해졌다. 이듬해에 우의정으로 승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도대장으로서 한강을 수호하다가 양주로 철수하여 부원수 신각(申恪)과 함경도 병마절도사 이혼(李渾)의 군사와 합세하여 해유치(蟹踰峙)에서 적군을 맞아 대승을 거두었다.

이양원은 당시 의주에 피난 중이던 선조가 요동으로 건너갔다는 와전된 소문을 듣고, 왕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함을 분통하게 여겨 단식한 지 8일 만인 1592년(선조 25) 7월 1일 6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

이양원의 묘소는 대호지면 송전리 산 61-23번지에 있다. 묘소 앞에는 이양원이 죽은 지 100여 년이 지난 후에 고손자인 이우정(李宇鼎)이 세운 묘비가 남아 있다. 당시 예문관 대제학 권유(權愈)가 글을 짓고 호조 판서를 지낸 오시복(吳始復)이 글씨를 썼다.

[상훈과 추모]

이양원의 신위를 배향한 사당은 문헌묘(文憲廟)라 하는데, 아들인 이시경(李蓍慶)의 충신 정려 뒤편 위쪽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