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민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567
한자 安敏學
영어공식명칭 An Minhak
이칭/별칭 습지(習之),이습(而習),풍애(楓崖)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2년연표보기 - 안민학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0년 - 안민학 희릉 참봉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83년 - 안민학 사헌부 감찰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01년연표보기 - 안민학 사망
출생지 안민학 출생지 - 서울특별시
묘소|단소 안민학 묘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지도보기
성격 문무관인
성별
본관 광주(廣州)
대표 관직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학자.

[개설]

안민학(安敏學)[1542~1601]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에 세거지를 형성하고 있는 광주 안씨(廣州安氏)의 대표적인 인물로, 율곡 이이(李珥), 우계 성혼(成渾)과 학문적 교류를 나눈 조선 전기의 학자이다.

[가계]

안민학의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습지(習之)·이습(而習)이며, 호는 풍애(楓崖)이다. 아버지는 안담(安曇)으로 조광조를 스승으로 섬겼으며, 성수침(成守琛)과 함께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었다.

[활동 사항]

안민학은 찰방을 지낸 안담의 아들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재능이 뛰어나 9세 때부터 『소학(小學)』, 『효경(孝經)』 등을 읽기 시작했으며, 20세를 전후하여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등의 성리학 서적을 접했다고 전해진다. 안민학은 어릴 때부터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경(經), 사(史), 백가(百家)를 광범하게 연구하였고, 25세에 박순(朴淳)을 스승으로 모신 뒤에 이이·정철·이지함·성혼·고경명 등과 교류하였다. 20세인 1561년(명종 16)에 원릉(元陵) 참봉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고, 1580년(선조 13) 이이의 추천으로 희릉(禧陵) 참봉이 되었다.

안민학은 1583년에 사헌부 감찰이 된 뒤에 관례에 따라 외직으로 나아가 대흥·아산·현풍·태인 현감을 역임하였고, 전주의 별장에 머물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소모사(召募使)로 임명되었다. 소모사로서 안민학은 전라도 광주를 중심으로 군량 수천 석, 전마 수백 필, 정예 군사 수천 명을 모아 북상하여 아산에 도착했지만 병이 들어 더이상 나아가지 못했다. 조정에서는 그 병력과 군량을 유성룡에게 돌리게 하였다. 이 공로로 안민학은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홍주목 신평현[현재의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에 낙향하여 지내다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안민학의 저서로는 『풍애집(楓崖集)』이 있다.

[묘소]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광주 안씨 선산 뒤편에 안민학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의 묘소 아래에 후손인 한말 국학자 안종화(安鍾和)가 1922년에 세운 안민학 신도비(安敏學神道碑)가 있다. 아울러 2018년 8월 10일 "안민학 애도문 및 백자명기"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3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0.06 내용추가 상훈과 추모에 "아울러 2018년 8월 10일 "안민학 애도문 및 백자명기"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3호로 지정되었다."는 내용 추가
이용자 의견
지** '당진 안민학 애도문 및 백자명기 2018.08.10.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3호로 지정'된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9.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