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860
한자 大邱 流川洞 新石器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 248-1
시대 선사/석기
집필자 김병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6년 10월 23일~2007년 5월 21일 -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원소재지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 - 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 248-1 지도보기
성격 생활 유적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에 있는 신석기시대 생활 유적.

[개설]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 2433-1번지 일원에 계획된 공동 주택 건설에 앞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2006년 10월 23일부터 2007년 5월 21일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신석기시대 집자리, 야외 화덕 자리, 도랑유구[溝狀遺構], 수혈, 주혈 등 101기의 유구와 빗살무늬토기, 갈돌, 갈판, 미완성 석기 등 376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위치]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 248-1번지 일대에 있다. 이 지역은 진천천 하류부 북안에 넓게 펼쳐져 있는 월배 선상지의 선단부에 해당되며, 사방으로 선상지 충적평야가 이어진다. 월배 선상지에는 대구 월성동 구석기 유적, 대구 대천동 신석기 유적대구 상인동 고인돌, 대구 상인동 선돌, 대구 월성동 고인돌, 대구 진천동 고인돌, 대구 진천동 선돌[사적], 대구 월암동 선돌, 대구 월성동 631번지 유적, 대구 월성동 1275번지 유적, 대구 월성동 1300번지 유적 등 청동기시대 고인돌군과 마을 유적을 비롯한 많은 선사시대 유적이 발굴 조사되었다.

[형태]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에서는 집자리 2기가 확인되었으며, 모두 방형의 형태를 띤다. 집자리의 내부 시설은 확인되지 않았고, 1호 집자리와 2호 집자리 동남쪽 부분에 돌출된 형태의 출입 시설이 확인되었다. 야외 노지는 6기 확인되었는데, 원형 1기·부정형 5기이며, 불맞은 돌이 포함되어 있다. 집석 유구는 3기 확인되었는데, 타원형 내지 부정형으로 강돌을 모아둔 형태이다. 수혈은 43기가 확인되었는데, 1호 집자리에 인접하여 8기가 군집으로 이루는 Ⅰ군과 조사 지역 전역에서 확인되는 Ⅱ군으로 구분되며, 곡물 저장이나 석기 제작 등 생활에 필요한 작업 공간으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 지역 서북쪽 가장자리에서 확인된 도랑유구는 청동기시대 대구 서변동 유적,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대구 동호동 유적 등에서 확인되는 구획된 도랑의 형태와 유사하다.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대부분 조각으로 확인되었다. 유구 내부 유물과 유물 포함층에서 출토된 유물로 나눌 수 있으나 형식학적 순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굵고 깊은 선 무늬[太線集線文]와 빗금무늬[斜線文]가 주류를 이루며, 가는 선 무늬[細線文]도 포함되어 있다. 대롱 무늬[竹管文]와 눌러 찍은 무늬[押捺文], 겹입술토기[二重口緣土器]도 극소수 포함되어 있다. 석기는 1호 집자리에서 갈돌[磨石]과 미완성 석기, 2호 집자리에서는 갈판[碾石]과 미완성 석기가 확인되었다.

[현황]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은 발굴 조사 완료 후 공동 주택이 건설되면서 유적의 원형은 소멸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구 유천동 신석기 유적은 신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시기의 유적으로 대구광역시 외곽 지역에서는 김천 송죽리 유적, 청도 오진리 유적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대구 대봉동 유적, 대구 서변동 유적, 대구 상동 유적과 함께 대구광역시에서 구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 사이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신석기시대 단위 마을 유적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