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489
한자 立春帖
영어음역 Ipchuncheop
영어의미역 Ipchun Calligraphy
이칭/별칭 춘첩자,춘축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용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연도/일시 고려시대
의례시기/일시 입춘날

[정의]

입춘 날 대문이나 들보, 기둥, 천장 등에 써 붙이는 글귀.

[개설]

입춘에는 입춘이 드는 시간을 따져서 대문이나 대들보, 기둥, 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서 붙이고 입춘을 송축하는데, 이것을 입춘첩(立春帖) 또는 춘첩자(春帖子), 춘축(春祝)이라고 한다.

[연원]

고려시대에 입춘 날에는 관리들에게 1일 휴가를 주었고, 입춘 하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신하에게 춘번자(春幡子)를 나누어 주었고, 문이나 기둥에 입춘첩을 붙였다고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에서 입춘 날 주사(朱砂)로 벽사문(辟邪文)을 써서 대궐 안으로 올리면 대궐에서는 그것을 문설주에 붙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경사대부와 일반 민가와 상가에서도 모두 춘련(春聯)을 붙이고 송축하였다고 하였다.

[의례내용과 절차]

대개 가정에서 그 해의 복을 비는 뜻으로 상서로운 글귀를 써서 붙인다. 흥덕구 수의동 강촌마을과 장암동 신목마을에서는 이전의 축이 있으면 떼어버리고 새 것을 붙인다. 글을 아는 사람은 직접 입춘 축을 쓰지만 직접 하기 어려운 사람은 마을 어른이 써 준 춘첩을 시간에 맞추어 붙인다.

입춘첩은 대개 정해져 있는데, 방문 위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방 천정에는 ‘세재모년만사여의형통(歲在某年萬事如意亨通)’, 광에는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을 써 붙이며, 대문에는 큰 글자로 용(龍), 호(虎)를 한자씩 써서 좌우에 붙인다.

[현황]

옛날에는 집집이 복을 비는 입춘첩을 써 붙였으나 근래에는 그리하는 집이 별로 없다. 상당구 운동동 백운동마을을 비롯하여 청주지역에 사는 불교 신자들은 이날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고 절에서 얻은 춘첩을 집안에 붙여서 한 해 동안의 태평을 기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